울산의 산업구조가 기술 강소기업과 대기업이 상생하는 생태계로 개선되고 있다.
울산시는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사업을 통해 당초 목표치를 크게 웃도는 유치 실적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올해 유치한 기술 강소기업은 기술혁신기업 등 모두 66개사로, 당초 자율목표인 55개사 대비 120%를 넘는 성과를 나타냈다.
이중 절반 이상이 울산 테크노파크에 본사, 공장, 연구소 등을 설립하고 ‘입주기업 성장관리지원 시스템’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받고 있다.
기술 강소기업 허브화 사업은 시정 10대 핵심과제로 울산시는 기술력이 뛰어난 수도권 소재 기업들의 울산 이전을 촉진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앞서 지난해 3월 기술 강소기업 집적화 단지 조성과 입주 공간 조성, 경제자유구역 지정, 투자유치 추진 체계 구축 등 10개 세부과제를 내용으로 하는 기술 강소기업 허브화 사업 계획을 수립했다.
또 지난해 8월에는 울산으로 이전·창업하는 기술 강소기업에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조례와 규칙 개정을 마무리하고, 보조금 지원 지침 제정을 통해 기업에 입지 지원, 장비 구입 보조, 고용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
기술 강소기업 허브화는 울산시가 경제 재도약을 위해 오는 2028년까지 500개의 기술 강소기업 유치가 목표다. 이를 통해 기술 중심의 새로운 일자리 1만 개를 창출과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상생의 산업 생태계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시는 2021년을 대비해 온라인 홍보와 투자유치설명회, 기업 맞춤형 투자유치팀 활동 등을 통해 투자유치 활동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또 울산테크노파크, 정보산업진흥원 등 입주공간의 지속적 확보와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 창업 지원, 대·중소기업 공동 기술개발 지원 등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울산은 세계적 대기업 중심의 연쇄적인 생산 및 공급 체계가 형성돼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네트워킹이 용이하고, UNIST를 비롯한 수준 높은 연구 기반을 갖추고 있어 기술 강소기업 허브로서의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는 앞으로 수소산업, 미래 자동차산업, 바이오헬스산업, 3디(D)프린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을 갖춘 기술 강소기업도 중점 유치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기술 강소기업 허브화를 위해 투자 특전 제도를 개편하고, 공장의 설립에서부터 연구개발, 생산과 판로개척까지 전 과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 기술강소기업 유치로 산업 생태계 바뀐다
입력 2020-12-08 1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