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예방 백신 4400만명분을 확보하면서 우선 접종 대상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해외 사례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에 따라 노인, 기저질환 환자 등을 우선 접종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8일 브리핑에서 “코로나19 백신의 목적 중 첫째는 치명률을 낮추는 것이고, 두 번째는 유행을 차단하는 것”이라며 “유행의 차단을 위해서는 젊고 활동이 왕성한 집단이 우선 접종이 돼야 하고, 치명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나이가 많고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이 먼저 접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접종을 시작하는 영국이나 준비하고 있는 미국 등 많은 나라는 주로 치명률을 낮추기 위해 고령층, 요양시설에 종사하는 분들부터 접종을 (계획)하고 있다”며 “우리도 접종을 먼저 하는 나라들과 비교해서 우선 접종대상이 전체의 방향과 크게 달라지리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우리 정부와 선구매에 합의한 제약사는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와 미국의 화이자, 존슨앤드존슨-얀센, 모더나 등 4개사다. 4400만명분은 우리나라 인구 88%가 접종할 수 있는 분량이다.
현재 정부는 노인과 집단시설 거주자, 만성질환자 등 코로나19 취약계층과 보건의료인 등 사회 필수 서비스 인력 3600만명을 우선 접종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을 먼저 맞을 수 있는 사회 필수 서비스 인력으로는 의료기관 종사자와 1차 방역대응 요원, 경찰·소방공무원과 요양시설·재가복지시설 종사자, 군인 등이 거론된다.
WHO나 다른 국가도 노인, 집단시설거주자, 만성질환자, 보건의료인 등을 우선 접종 대상자로 권고하고 있다. 소아·청소년 등은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결과가 불충분해 우선 접종 대상에서는 제외될 전망이다.
권 본부장은 “내년 1월쯤에 백신 허가가 나고, 접종은 1분기 중에 시작되지 않을까 추정했는데 상당히 시간이 빨라진 것이 사실”이라며 “주요한 고위험집단은 3분기나 4분기 훨씬 이전에 접종이 완료돼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체 접종 규모가 커지고 빨라지면서, 부작용의 발생 비율을 상당히 이르게 확인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지금 백신 효능에 대한 수치 자체가 매우 높고, 상당히 안정성이 높다는 것이 지금 근거 자료로서 투명하고 공개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