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전국 최초 추진 중인 ‘지역 특화형 긴급 직업훈련 사업’이 성공적인 고용유지 모델로 안착했다.
경남도는 지난달부터 고용노동부와 함께 진행하고 있는 ‘지역특화형 긴급직업훈련 시범사업’에 한 달 여간 781명 노동자 참여해 고용을 유지했다고 8일 밝혔다.
도는 이 사업으로 항공제조업, 조선업 등 주력산업 숙련인력의 해고 없는 고용유지 지원으로 내년 말까지 7800여 명 이상이 고용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역 특화형 긴급 직업훈련 시범사업은 사업주가 소속 노동자를 해고·무급휴직 전환 없이 유급휴가를 통해 직업훈련에 참여하도록 조치하면, 정부가 인건비와 훈련비를, 도와 시군이 업주의 4대 보험료를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인건비는 주휴수당을 포함해 최저임금의 150%를, 훈련비는 훈련기준 단가의 100%를 고용보험기금에서 지원한다. 4대 보험료는 도와 시군이 50%를 지원해 고용유지를 위한 사업주 부담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 사업은 지난 11월 2일 첫 훈련과정을 개설한 후 지난 7일 현재까지 도내 781명의 노동자가 시범사업에 참여해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항공제조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숙련인력 이탈을 최소화하고 있다.
수주물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거제 지역 조선협력사들 또한 이달 1일부터 시범사업에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조만간 훈련과정 개설 준비 후 내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훈련을 시작할 예정이다.
사천 소재 항공분야 공동훈련센터 관계자는 “중소협력사의 훈련수요가 많으나, 훈련공간에 한계가 있어 인근 공동훈련센터와 훈련과정을 나눠서 진행 중”이라며 “이번 시범사업이 중소협력사 고용위기 극복에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도는 이 사업을 통해 내년 연말까지 7831명 이상이 고용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사업은 도내 사업장 주소지를 둔 우선지원 대상기업(제조업의 경우 상시근로자 수 500인 이하 사업장)이 참여할 수 있으며 대우조선·삼성중공업 등 도내 13개 공동훈련센터와 훈련과정을 개설한 후 산업인력공단의 훈련승인을 받으면 된다.
김기영 도 일자리경제국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직업훈련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은 높이면서 숙련인력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제도”라며 “고용유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사업주 부담을 최소화해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이 사업을 활용해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경남도, 전국 최초 ‘지역특화형 긴급직업훈련 사업’ 고용유지 모델로 안착
입력 2020-12-08 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