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불안감 줄이자” 제주, 확진자 동선 공개 확대

입력 2020-12-08 11:08
임태봉 통제관(제주도 보건복지여성국장)이 8일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제주형 코로나19 확진자 정보공개 지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주도 제공

제주도가 도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확진자 동선 공개를 확대하기로 했다.

도는 11월 이후 도내 확진자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지침보다 공개 범위를 넓힌 제주형 코로나19 확진자 정보공개 지침을 8일부터 적용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에 따라 2명 이상 확진자가 발생하거나 불특정 다수가 이용해 접촉자를 완전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추가 감염 우려가 존재하는 경우, 유흥업소나 사행업종 등은 확진자 방문 시 동선 공개 대상이 된다.

학교와 학원 목욕탕 술집 노래방 게임장을 포함해 집회와 모임, 세미나, 게스트하우스 등이 해당한다.

실외 공간을 찾는 추세를 반영해 오름이나 숲길 일출봉 야외 전시장 등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동선을 공개하기로 했다.

공개 기간은 확진자가 마지막 접촉자와 접촉한 날로부터 14일 이내다. 기간이 경과하면 관련 내용은 삭제한다.

그러나 접촉자 파악이 모두 완료되는 공간에 대해서는 기존의 중대본 지침을 존중해 비공개 방침을 유지한다. 해당 공간 내 모든 접촉자가 CCTV나 출입 명부를 통해 파악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다만 제주도는 이 경우에도 도민 불만을 줄이기 위해 비공개 사유를 브리핑을 통해 알리기로 했다.

그동안 제주도는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지침을 준수해 확진자의 이동 경로를 최소한의 범위에서만 공개해왔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정보 공개 범위가 이전보다 축소되자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졌다.

임태봉 보건복지여성국장은 8일 오전 이와 관련한 공식 브리핑에서 “중대본의 지침 안에서만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할 경우 도민들의 심리적 불안이 가중되거나 잘못된 정보가 유포될 수 있을 것을 우려해 제주형 정보공개 지침을 수립했다”면서 “제주도는 구체적인 정보와 설명으로 도민 심리 방역에도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에서는 2~7월까지 5명 안팎의 한 자릿수를 기록하던 감염자 수가 8월 20명, 9월 13명, 11월 22명, 12월 8명 등(10월 0명)으로 하반기 이후 크게 늘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