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8일 제57회 무역의 날 기념사에서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가입도 계속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내년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CPTTP 복귀 가능성이 커지자 문 대통령도 가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시장의 다변화도 반드시 이뤄야 할 과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막대한 잠재력을 가진 신남방, 신북방 국가를 중심으로 FTA(자유무역협정) 네트워크를 더욱 넓혀가겠다”며 “지난달 최종 서명한 세계 최대규모 다자 FTA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을 시작으로 올해 안에 인도네시아, 이스라엘과의 FTA를 마무리 짓고 인도, 필리핀, 캄보디아, 우즈베키스탄과의 FTA도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중국, 러시아와 진행 중인 서비스 투자 FTA 협상을 통해 한류 콘텐츠 수출과 지식재산권 보호를 확대하고,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의 메르코수르, 멕시코 등의 태평양 동맹과도 협상을 가속화해 거대 중남미를 더욱 가까운 시장으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자유무역과 다자주의를 회복하고, 무역장벽을 낮추기 위한 WTO, G20 등 국제사회 논의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미·중 무역 갈등 상황에서 한국이 지난달 RCEP 참가하면서 한·미 관계가 미묘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RCEP 중에서는 중국이 최대 경제 규모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CPTTP와 RCEP은 대립이나 대결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 관계”라고 설명한 바 있다.
RCEP은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15개국이 지난달 서명한 세계 최대 규모의 FTA)다. CPTPP는 당초 미국 주도의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에서 미국이 탈퇴하자 일본, 호주 등 나머지 11개 국가가 수정해 만든 협정이다.
문 대통령은 ‘탄소중립 2050’ 계획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며 “우리 역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2050년 탄소중립’이라는 담대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했다. 이어 “무역이라고 예외가 될 수 없다. 이미 EU와 미국 같은 나라에서 탄소 국경세 도입이 공론화되고 있다”며 “우리 수출 기업들도 하루빨리 에너지 전환을 이루고 친환경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고 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