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공군이 군 공항 소음 피해를 줄이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시와 공군 제1전투비행단은 8일 오전 11시 광주시청 비즈니스룸에서 ‘군 공항 소음피해 저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업무협약에서 전투기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행 횟수와 이·착륙 방향, 비행 시간대 등을 조정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군 공항 주변 시민의 소음 피해를 줄이기 위해 행정기관과 공군이 손을 맞잡는 것은 처음이다.
시는 “광주 군 공항 이전 대상지가 결정돼도 완공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전투기 이·착륙 때 발생하는 소음에 따른 시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전투기 훈련 시간 등을 조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전투기의 경우 이·착륙 방향을 조금 바꿔도 상당한 소음저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국제공항 통합과 맞물린 군 공항 이전은 광주시의 최대 현안사업 중 하나다. 시는 지난 2018년 8월 전남도, 무안군과 3자 협약을 통해 오는 2021년까지 광주 민간공항을 무안공항으로 무조건 이전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최근 광주시민 여론조사 결과 군 공항과 별도로 민간공항을 무안공항으로 옮기는 데 대해 대다수가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자 갈팡질팡하고 있다. 시는 군 공항과 민간공항의 동시 이전을 바라고 있으나 전남도는 일단 민간공항부터 옮기라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시와 도는 지난 1일 상생발전위원회를 열고 ‘국토부·국방부·광주·전남 군 공항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범정부적인 군 공항 이전대책을 마련하기로 합의했지만, 이 역시 전남 도내 이전 후보지 지자체와 주민들이 강력히 반대하고 나서 군 공항 이전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이와 관련, 광주시민권익위는 시민 79.5%가 민간 공항 이전을 군 공항과 연계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달 11일 ‘민간공항을 무안공항으로 이전·통합하는 계획을 유보하라’고 이용섭 시장에게 권고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이에 대해 “광주 군 공항 조기 이전을 위해 중앙정부의 주도적 참여, 이전 기간 시민 소음 피해 최소화, 소음 피해 가구 적극 지원 등 3단계 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겠다”며 “국방부와 국토교통부가 참여한 용역을 통해 군 공항 이전의 실마리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군 공항을 옮기기 전까지 소음 피해는 불가피하다”며 “시민권익위원회에서 요청한 광주 민간공항 이전에 대한 공식 입장은 10일까지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