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7일 수도권의 코로나19 대응 역량을 강화하라며 신속항원검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라고 주문했다. 코로나19 검사를 선제적으로 시행하라는 뜻이지만 대통령이 세세한 부분까지 직접 챙기면 자칫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묻히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청와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신속 항원 검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도록 주문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수도권 지역 직장인과 젊은 층이 검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받도록 선별 진료소의 야간 및 휴일 운영을 대폭 확대하라”고도 지시했다.
신속항원검사는 현재 확진자 분류에 쓰이는 유전자증폭(PCR) 검사법보다 빨리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PCR검사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6시간 이상 걸리지만 신속항원검사는 이를 30분가량으로 단축한다.
하지만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게 문제다. PCR검사가 95% 이상의 민감도를 보이는 데 비해 신속항원검사의 민감도는 제품에 따라 50~7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본부장은 지난 1일 “신속히 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짜 양성·음성 판정은 방심과 또 다른 유행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하지만 이날 문 대통령의 지시 이후 방역 당국은 신속항원검사의 장점을 부각했다. 나성웅 방대본 제1부본부장은 정례 브리핑에서 “(신속항원검사는) 별도의 진단 장비가 없어도 진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므로 응급실, 격오지 등에서의 활용성이 높으며 요양병원의 스크리닝 검사에도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대통령의 검사 확대 방침은 환영하면서도 꾸준히 논란을 빚은 신속항원검사를 콕 집어 강조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유병률이 낮은 국내 상황상 가짜 양성·음성 문제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고 우려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방역은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내고 결정할 수 있도록 전적으로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송경모 임성수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