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트럼프의 ‘아브라함 협정’ 계승키로… 대북정책은?

입력 2020-12-07 15:32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 결과물 중에서 ‘아브라함 협정’만은 계승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브라함 협정은 자칭 ‘중동의 피스메이커’인 트럼프 대통령 주선으로 이스라엘이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과 체결한 평화 협정을 뜻한다.

반면 바이든 당선인은 중동정책을 뺀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 대부분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대북정책도 방향 전환이 있을지 주목된다.

미국 인터넷매체 악시오스는 6일(현지시간) “바이든 당선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외정책 이니셔티브 대부분에 반대하는 입장”이라면서도 “다만 그의 몇몇 측근들에 따르면 바이든 당선인은 아브라함 협정만은 남긴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바이든 당선인의 아브라함 협정 유지 방침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인근 걸프 지역 국가 정상과의 관계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고 악시오스는 전했다. 바이든 당선인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국가로서 공존하는 ‘2개 국가 해법’을 네타냐후 총리가 인정토록 추가 합의를 추진할 생각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친(親)이스라엘 정책을 펼쳐온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주변 중동 국가 간 관계 정상화에 공을 들였다. 그 결과로 이스라엘과 UAE, 바레인은 지난 9월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백악관에서 서명식을 가졌다. 유대인과 아랍인이 함께 조상으로 여기는 아브라함의 이름을 협정에 붙인 것도 트럼프 대통령의 아이디어였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지명자는 대선 직전 유대계 인사와 만난 자리에서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 관계 정상화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정책 못지않게 관심을 갖고 추진해온 북·미 비핵화 협상은 지난해 2월 ‘하노이 노딜’ 이후 사실상 아무런 진전도 내지 못한 상황이다. 바이든 당선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톱다운’ 대북 협상 방식에 부정적인 뜻을 밝힌 적이 있어 그가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계승할지는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