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창원 전동열차 도입 추진…동남권 광역전철망 구축 첫 걸음

입력 2020-12-06 14:31

정부가 동남권 ’메가시티’의 핵심 광역교통망이 될 ‘부전(부산)~마산(창원) 전동열차’ 도입을 위한 사업비를 내년도 예산에 최종 반영하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6일 부산시와 경남도 등에 따르면 부전~마산 전동열차 도입을 위한 타당성 조사 용역비 3억원 등 20억원이 내년도 정부 예산에 반영됐다.

그동안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는 부전~마산 전동열차 도입을 위한 국비 반영에 난색을 보여왔으나,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부전~마산 전동열차 도입 필요성이 받아들여지면서 내년도 정부 예산에 사업비 20억원이 반영됐다.

내년도 정부 예산에 사업비가 반영됨에 따라 부전~마산 전동열차 도입에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창원~부산~울산을 연결하는 광역전철망 구축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평가다.

부전~마산 복선전철 사업은 창원~김해~부산 50.3km를 9개 역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1조 5766억원 규모의 국가 철도 사업이다. 지난달 말 현재 98%의 공정률을 보인다.


사업이 완료되면 기존 경전선에서 경부선을 우회하는 창원~삼랑진~양산~부산 구간(87km)이 창원~김해~부산(50.3km)으로 연결돼 이동 거리가 37km 단축되고 운행 시간도 1시간 33분에서 55분으로 38분이 짧아진다.

애초 운행 간격 20분의 광역 전철 기능을 갖춘 전동열차(emu-180)를 계획했지만, 국토교통부에서 준고속열차(emu-260)로 사업 계획을 변경했다. 하지만 준고속열차만 도입하면 애초 부전~마산(50.3㎞)에서 부전~순천(165㎞)으로 운행 구간이 확대되면서 운행 간격이 20분에서 1시간 30분으로 크게 지연되고, 1일 운행 횟수도 편도 32회에서 12회로 대폭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부산시와 경남도는 애초 계획대로 ‘운행 간격 20분’을 유지하고자 준고속열차와 전동열차를 병행해 운행하는 방안을 두고 국토부와 협의해 왔다. 국토부는 결국 국가 균형 발전 차원에서 준고속열차와 병행해 동해남부선(부산~울산)과 연계한 부전~마산 전동열차 도입 방안을 받아 들이고 국회 심의 과정에서 정부 예산 반영에 동의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