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가 추진 중인 사적지 정비 사업이 사유지 보상 등 민원 해결을 통해 탄력을 받게 됐다.
경주시는 신라시대 왕·왕비·귀족 23기가 모여 있는 대릉원과 세계 유일의 수중왕릉인 문무대왕릉, 경주읍성 등 3곳을 문화재청을 통해 사적으로 지정하고 정비 작업에 나섰다.
경주를 대표하는 유적지인 이곳은 오랜 세월동안 유적지 일부 부지가 사유화되면서 관리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경주읍성과 대릉원 일대는 소유주들의 반발로 사업은 속도를 내지 못했다. 문무대왕릉이 있는 양북면 봉길해변은 무속인들의 굿당이 난립하면서 경관 훼손, 쓰레기 투기에 따른 환경오염, 각종 소음 발생 등 크고 작은 민원에 시달렸다.
이에 시는 유적지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7월 토지 보상을 전담할 사적지 정비T/F팀을 구성하고 적극 대응에 나섰다.
사적지 정비T/F팀은 주민들과 소통하며 감정가 불만과 채권·채무에 따른 법률문제, 미상속 문제, 인근 상가의 영업부지 확보, 고령자인 경우 살던 곳을 떠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등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그 결과, 토지 60필지(6만3100㎡)와 건물 11동을 매입해 7동은 철거를 마무리 짓고, 남은 4동은 철거를 위한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박진우 경주시 사적지 정비T/F팀장은 “토지 소유주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가져 조속히 보상 절차를 마무리하고 차질 없이 진행해 역사·문화도시 경주의 위상 정립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