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기피제·계면활성제…유치원 교사가 급식에 넣은 물질

입력 2020-12-05 10:10
게티이미지뱅크,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

서울의 한 유치원에서 40대 교사가 원아들의 급식 등에 넣은 정체불명의 액체에서 모기 기피제와 계면활성제와 같은 유해한 성분이 검출됐다.

4일 서울 금천경찰서는 유치원 교사 A씨가 원아들의 급식 등에 넣은 액체로 추정되는 약병 8개의 성분 분석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디에틸톨루아미드 등의 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디에틸톨루아미드는 모기기피제에 들어가는 성분으로 피부에 바르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 외에도 샴푸나 세정제에 들어가는 성분, 또 화장품 등에 들어가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돼 있었다. 서울 금천경찰서는 이 약병들에 들어있는 물질이 A씨가 아이들 급식에 넣은 액체와 동일한 것인지 확인하고 있다.

A씨는 지난달 11일 복도에 놓인 아이들의 급식통에 정체불명의 액체를 넣은 혐의 등을 받고 있다. A씨의 이 같은 행동은 교무실에 있던 한 교사의 컵이 사라지는 등 최근 수상한 일이 잇따르자 유치원 측에서 CCTV를 확인하며 드러났다. CCTV에는 지난달 11일 A씨가 앞치마에서 약통을 꺼내 6세 원아들의 급식에 액체를 넣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당시 A씨가 액체를 뿌린 급식을 먹은 원아는 11명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3일과 10일 교사들 급식에도 액체를 뿌렸다. 경찰 조사 결과 A씨의 책상 서랍에서는 빈 약병 8개가 나왔다. A씨는 “자신이 심리적으로 힘들었다”며 “맹물을 넣은 것뿐”이라고 진술했다. 경찰은 약통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보내 성분 분석을 의뢰했다. 또 1년간의 유치원 CCTV를 확보해 조사에 나섰다. 교육청은 A씨를 직위 해제했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