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취수원 이전 문제가 지방자치단체 간 접점을 찾지 못 한 채 올해를 넘기게 됐다. 정부의 관련 용역 결과 발표 후에도 대구와 구미 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4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대구 취수원 이전 논의는 2009년부터 시작됐다. 대구시는 그동안 발생한 낙동강 오염 사태 원인을 구미공단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취수원을 공단 상류에 있는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옮기기를 원했다.
하지만 구미시와 구미지역 시민단체 등은 대구 취수원을 이전하면 낙동강 수질 악화와 수량 부족, 재산권 침해 등의 우려가 있다며 이전을 반대했다. 이에 지난해 정부가 나서 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을 모두 아우르는 낙동강 물 문제 해법을 찾기로 했고 이에 관련 연구용역을 실시했다.
환경부가 낸 중간 결과 발표 내용은 ‘구미 해평취수장+초고도정수처리’ ‘안동 임하댐+초고도정수처리’ 등 대구 내 수원과 다른 지역 수원을 조합해 안전한 물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즉 취수원 다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구시는 낙동강 물의 합리적 배분을 위해 취수원 공동 활용지역인 해평취수장이나 임하댐에서 일부를 취수하고 부족한 수량은 현재의 대구 문산·매곡 취수장에서 감당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취수원 공동 활용지역에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안도 제시했다.
하지만 여전히 구미지역에서는 반대 기류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지난달 19일 환경부가 김천에서 ‘낙동강 통합물관리 상류지역 열린토론회’를 열었는데 구미 측의 반대로 파행을 겪었다. 토론회 후 올해 대구와 구미가 함께하는 공식적인 일정은 없다. 갈등 상황이 내년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구미지역 시민단체 등은 여전히 각종 환경규제와 지역민들의 재산권 침해, 지역경제 악영향 등을 반대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대구는 구미지역 단체 등과 물밑 접촉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 관계자는 “취수원 문제와 관련해 의견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과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며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 만큼 실마리를 찾기 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