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위기를 맞이한 취약계층을 위해 내년에도 유동성 지원을 이어나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내년 한국판 뉴딜 성과를 내기 위해 뉴딜 분야 기업에 100조원 규모의 유동성도 공급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4일 서울 산업은행 본점에서 제4차 혁신성장정책금융협의회를 열고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내년에도 경제충격에 취약한 소상공인,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혁신성장정책금융협의회는 정부와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11개 정책금융기관으로 구성된 협의체다.
김 차관은 이어 “정상기업이 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문 닫는 일이 없도록 기존 코로나19 대응 금융지원 프로그램은 물론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다양한 금융지원을 계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에 대한 지원도 내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김 차관은 “한국판 뉴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물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정책금융이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 내년부터 향후 5년간 총 100조원 규모의 디지털 뉴딜 및 그린 뉴딜 분야의 기업에 대한 대출, 투자, 보증지원에 나설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정책금융기관들은 뉴딜 분야 중소·중견기업, 수출기업 우대 대출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비대면·바이오·재생에너지와 같은 혁신 분야 중소·벤처기업에 투자자금을 공급한다. 또 성장 전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연구개발(R&D)에서 사업화, 성장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맞춤형 우대보증도 제공한다.
김 차관은 “한국 경제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산업 구조 변화를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산업구조 혁신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금융 지원에도 박차를 가하겠다”라며 “내년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설비투자 지원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