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티머스 복합기 임대료 지원 의혹으로 검찰 조사를 받던 더불어민주당 대표 비서실 소속 이모 부실장이 3일 숨진 채 발견됐다.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낙연 대표 측은 이날 갑작스러운 비보에 충격에 휩싸인 분위기였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이 부실장의 사망 소식이 알려진 직후 “우리도 지금 기사를 보고 알았다. 보고 놀란 참”이라며 “딱히 드릴 수 있는 말씀이 없다”고 뉴시스에 말했다.
다른 이 대표 측 관계자도 “사실이냐”고 반문한 뒤 “그분이 복합기 건으로 고발된 분이다. 우린 못 본 지 한참 됐다. 내부 업무가 아닌 정무직이라서”라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 부실장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아직 어떤 것도 확인을 하지 못했다. 소식을 막 알아서 상황 파악 중”이라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이 대표에게 정치적 부담이 될지도 모른다는 중압감이 컸던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 부실장은 이 대표의 최측근 중 한명으로 꼽힌다. 그는 이 대표가 전남 지역 국회의원일 때 지역구를 관리하는 비서관으로서 인연을 맺었다. 2014년 전남지사 선거 때 자금, 조직 등의 업무를 담당했던 그는 공직선거법 위반(당비 대납 혐의)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1년 2개월의 실형을 살기도 했다.
당시 전남지사였던 이 대표는 2015년 12월 그를 정무특보로 기용했다. 출소 4개월 만에 이뤄진 인사였다. 이를 두고 지역 내에서 공무원 임용 규정 위반 및 보은·특혜 인사 논란이 일었었다.
이 부실장의 당비 대납 혐의와 보은 인사 논란은 2017년 이낙연 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도 야당에 의해 쟁점이 됐다. 야당은 당시 “상식적으로 보좌관과 측근이 상관을 위해 5000만원을 쓴 게 말이 되냐”며 대납 당비의 출처를 추궁했다.
이 대표가 총리가 된 뒤 일선에 물러났던 이 부실장은 지난 4·15 총선 때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재개했다. 그는 종로 선거 사무실에 상주하며 조직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고 한다. 8·29 전당대회에서 이 대표가 당선된 이후에는 여의도로 와서 대표 비서실 부실장으로 활동해왔다.
그러나 지난 10월 옵티머스 복합기 대납 의혹 사건이 처음 보도된 후 위기에 봉착했다. 이 대표의 종로구 사무실 복합기 임대료 76만원을 옵티머스 관련 회사인 트러스트올이 대납했다는 의혹인데, 트러스트올 관계자가 이 부실장의 지인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 측은 이에 대해 그동안 복합기는 참모진이 지인을 통해 빌려온 것으로, 지인이 트러스트올과 연관이 있다는 것은 보도를 통해 알았으며 회계 보고 때 복합기가 누락된 것은 실무진의 착오라고 해명해왔다.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달 이 부실장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고, 이 부실장은 최근 검찰 조사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