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와 지역’ 관계에 대해 통일이 좋은가, 분리가 좋은가, 통일 되어야 하는가 등의 문제를 ‘중국-홍콩체제’라는 키워드로 고민해온 저자의 책. 저자는 국가와 지역의 동아시아적 형태가 중국-홍콩체제이며, 이는 동아시아 미래를 여는 주요 관문이라 여긴다. 궁극적으로 ‘유럽 연합’과 비슷한 형태의 ‘동아시아연합’을 꿈꾸며 중국-홍콩체제가 그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중국과 홍콩을 같은 체제의 틀 안에서 연구할 것을 제의한다. 373쪽, 2만5000원.
‘국가와 지역’ 관계에 대해 통일이 좋은가, 분리가 좋은가, 통일 되어야 하는가 등의 문제를 ‘중국-홍콩체제’라는 키워드로 고민해온 저자의 책. 저자는 국가와 지역의 동아시아적 형태가 중국-홍콩체제이며, 이는 동아시아 미래를 여는 주요 관문이라 여긴다. 궁극적으로 ‘유럽 연합’과 비슷한 형태의 ‘동아시아연합’을 꿈꾸며 중국-홍콩체제가 그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중국과 홍콩을 같은 체제의 틀 안에서 연구할 것을 제의한다. 373쪽, 2만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