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모처럼의 지지율 상승에 반색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한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지지율이 올랐던 때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나 부동산 3법 등 부동산 정책 실패 논란 터진 시점으로, 정부·여당의 실정에 기댄 ‘반사이익’ 측면이 컸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지지율 상승의 요인으로 꼽히는 윤석열 검찰총장 지지 여론이 국민의힘 지지율로 곧바로 이어지지 않을 것에 대한 우려도 높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실시한 12월 1주차(11월 30일~12월 2일) 주중 잠정 집계 결과, 국민의힘은 지난주보다 3.3%포인트 오른 31.2%(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5%포인트, 응답률 4.4%)를 기록한 것으로 3일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은 전주보다 5.2%포인트 떨어진 28.9%였으며, 양당 지지도 격차는 2.3%포인트였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
국민의힘의 한 의원은 “부동산 문제,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 총장의 갈등, 월성원전폐쇄 등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이 누적된 상황이 여론에 반영됐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이 잘 해서 지지율이 상승했다기 보다는 최근 ‘추·윤 사태’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아파트 빵’ 발언 등 여권의 헛발질이 야당 지지율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비대위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요즘 정부·여당의 행태를 국민이 납득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 자연적으로 민주당의 지지율이 떨어지지 않았겠느냐”라고 말했다.
당내에선 반사이익만으로는 지지율 상승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지난 여름에도 지지율이 오르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았느냐”며 “이번 지지율 상승은 결국 추 장관과 윤 총장 사태 때문이지, 우리 당이 뭘 특별히 잘해서는 아니다”고 분석했다.
실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체제 출범 이후 눈에 띄는 당 지지율 상승세는 지난 8월에 두드러지게 보였다. 김 위원장의 기본소득 이슈 선점과 호남 끌어안기 등 당 쇄신 드라이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8·15 광복절 보수 집회를 기점으로 국민의힘 지지율은 답보 상태에 빠졌다.
특히 두 자릿수 지지율을 얻는 대선주자가 없는 상황이 지지율 상승에 큰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당 지지율이 상승하려면 이념이나 정책 분야에서 혁신이 이뤄지거나, 대중의 지지를 받는 인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유력주자의 부재로 당의 뚜렷한 구심점이 없고, 오히려 외부 인사인 윤 총장이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정국이 지속될 경우 수권정당으로서의 존재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