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 모평 반영…EBS 연계율 70% 수준”
“수능모평서 재학생·졸업생 간, 재학생 간 학력 격차 특이점 없어”
“수능 난이도 특히 어려워지지 않을까 조심”
“초고난도 문항 피하려고 최대한 애써”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인 민찬홍 한양대 교수는 3일 수능 출제 기조와 관련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예년과 같은 출제 기조를 유지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민 위원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수능 출제 방향 브리핑에서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된 능력 측정을 위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문제를 냈다”며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 중심으로 출제함으로써 고교 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중위권이 붕괴하고 재학생·졸업생 간 학력 격차가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는 “6, 9월 모의평가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졸업생과 재학생 간 학력 격차와 재학생들 내에서의 성적 분포 등에 있어 예년과 달리 특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특히 더 어려워지지 않을까 조심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며 “초고난도 문항도 피하려고 최대한 노력했다”고 덧붙였다.
‘출제 시 코로나19를 고려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재학생들이 학습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며 “처음 출제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학생들이 특별히 어렵다는 인상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 최대한 주의를 기울였다”고 재차 강조했다.
또 “검토진에서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는 문제를 수정하는 데 신경 썼다”며 “보통 정답이 있고 경쟁력이 있는 오답이 몇 개나 되는지 문제에 의해 (난이도가) 갈리는데 최종 결과물이 어려워지지 않도록 애를 썼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성기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도 “6, 9월 모의평가를 기초로 해서 난이도에 급등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인위적인 난이도 조정은 없었다고 부연했다.
민 위원장은 9월 모의평가 당시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 영어 영역을 언급하며 “작년 수능 기조를 유지하되 특별히 등급 간 인원수를 조정하려고는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의 과도한 수험 준비 부담을 완화하고 학교 교육이 내실화할 수 있도록 했고, 고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수험생이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출제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EBS 수능 교재와 강의 연계를 두고는 “영역·과목별 연계율은 문항 수를 기준으로 70%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수능은 전국 86개 시험지구에서 오전 8시40분 일제히 시작됐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