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제안한 ‘코로나19 전용병원’… 실현은 ‘난관’

입력 2020-12-02 17:33
사진=연합뉴스

의료계가 제안한 ‘코로나19 전용병원’ 지정 방안에 대해 정부가 전문가들과 논의해나가기로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전용병원을 지정해 인력·장비를 확보하는 일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강도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2일 브리핑에서 “중환자의학회에서 코로나19 확진자를 위한 전용 코호트 병원에 대해 제안했다”며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료계가 전용병원을 제안한 이유는 일선 병원에서 코로나19 치료병상과 일반 병상이 함께 운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진료도 함께 봐야 해 의료진의 업무 부담이 크다. 환자 간 교차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려면 업무 효율성도 떨어진다는 불만이 나온다. 전날 대한의사협회는 “코로나19 치료 역량을 늘리기 위해선 전용병원 지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전용병원을 지정하기에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우선 현재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운영되는 지방의료원 등 공공의료기관을 전용병원으로 지정하게 되면 일반 환자들이 진료를 받을 수 없게 된다. 특히 공공의료기관을 이용해 온 의료 취약계층이 가장 큰 피해를 받을 수 있다. 전국에서 감염병전담병원으로 활용되는 의료기관 46곳은 대부분 지방의료원이다.

이미 지방의료원에서는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집중하면서 일반 환자의 ‘2차 피해’가 벌어지고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서울의료원은 코로나19 입원환자가 늘면서 기존 환자들을 다른 병원으로 옮겼다”며 “결국 의료 취약계층이 피해를 보게 되기 때문에 코로나19 전용병원으로 활용하기가 가능할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지방의료원을 코로나19 전용병원으로 활용한다면 인력, 장비를 보강하기 위한 대책도 필요하다. 현재 지방의료원은 코로나19 환자 중에서 에크모(체외막산소공급·ECMO) 치료 등이 필요한 위중증 환자를 돌볼 여력이 없다. 위중환자 치료 역량까지 갖춘 민간병원을 코로나19 전용병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손실 보상과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 하지만 이는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

방상혁 의협 상근부회장은 “지역의료원을 전용병원으로 활용한다면 기존 환자들이 다른 병원으로 옮기더라도 치료비 부담이 늘지 않도록 정부가 지원해주면 되고, 민간병원을 전용병원으로 활용하면 그만큼 정부가 보상을 주면 된다”고 말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