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은 법원의 윤석열 검찰총장 직무정지 효력정지 결정 이후 사태 수습을 위한 문재인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문 대통령이 결자해지 차원에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을 경질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만 윤 총장도 정치를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원장-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지금 같은 상황에서 윤 총장을 몰아내려는 무리수를 둘 거 같으면 과거 정부에서 본 것처럼 후회밖에 할 수 없는 상황이 도래할 것”이라며 “현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임명권자인 대통령만이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정인에 대해 집착하지 마시고 냉정한 입장에서 국가 장례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냉정하게 판단해달라”고 강조했다.
주 원내대표도 추 장관을 겨냥, “법무장관에게도 정치 중립이 요구된다”며 “뭐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는 우리 속담이 생각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서는 추-윤 사태 해법으로 “문 대통령이 추 장관을 경질하고, 윤 총장은 ‘정치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라”고 주장했다. 이어 “윤 총장이 정치를 ‘안 한다’가 아니라 ‘하지 않겠다’고 명백히 선언해야 한다”며 “그것이 대한민국 법치주의가 살고 검찰의 중립성, 독립성이 보장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문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해 대여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도, 윤 총장도 향후 행보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5선인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도 “역사는 반복된다. 박정희정권의 몰락은 고집스러운 정치 권력이 야당 총재인 김영삼의 의원직을 박탈하는 데서 촉발됐다”며 “‘윤석열 찍어내기’의 후폭풍은 김영삼 찍어내기 후폭풍의 데자뷔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하라”고 꼬집었다.
야권 잠룡들도 문 대통령과 추 장관을 비판하며 대여 공세에 힘을 보탰다. 유승민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대통령은 곤혹스러울 것이다. 장관 뒤에 숨어서 총장을 제거하려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이미 많이 늦었지만, 이제는 대통령이 마지막 선택을 해야 한다. 장관이냐, 총장이냐? 선택은 둘 중 하나뿐”이라며 “이 혼란을 끝내기 위해 대통령이 결자해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원희룡 제주지사도 추 장관과 관련해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에 앞장섰던 당시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며 “권력남용을 저지른 추 장관을 해임하고 사태를 올바르게 수습하지 않으면 이 사건은 정권교체의 서막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