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달 말 공공재개발 사업 후보지를 발표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홍 부총리는 “지난 9월 21일~11월 4일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 기간 총 70곳에서 신청했다”며 “12월 중에 낙후도와 정비 시급성, 지역 활성화 필요성 등을 종합 검토해 사업 후보지를 선정·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5월부터 국토교통부·서울시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 7월부터는 주민 설명회를 개최하고, 관심 구역을 방문해 컨설팅도 시행했다. 공공재개발 사업지는 12월 말 공공재개발후보지선정위원회를 통해 알릴 예정이다.
홍 부총리는 “공공재건축은 사전 컨설팅을 신청한 단지를 대상으로 사업성 분석 등을 진행 중이며 연말부터 순차적으로 회신할 예정”이라며 “향후 사전 컨설팅 결과를 기반으로 선도 사업 후보지를 신청받아 사업 대상지를 구체적으로 확정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또한 중장기적으로 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늘리기 위해 공모형 리츠·부동산 펀드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민간과 협력해 중산층의 다양한 주거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면서 “풍부한 시중 유동성을 활용하는 공모형 리츠·부동산 펀드를 활성화해 중산층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산층 임대는 공공성과 시장성 간 합리적인 균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설계할 것”이라면서 “기존 주택을 매입하는 임대방식보다는 주택공급 순증 효과가 있는 건설임대를 중점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공공·국민·사업자와 재무적 투자 등 참여자 모두가 이익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구조를 짤 것”이라면서 “보다 구체적인 방안은 내년 경제정책 방향을 통해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