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대전지역 국회의원, 자치구, 시민사회단체가 중소벤처기업부의 대전 잔류를 촉구하며 천막농성에 돌입했다.
허태정 대전시장과 박영순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 등 대전지역 국회의원, 대전 5개구청장 및 시·구의회, 대전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20여명은 30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 본관 앞에서 중기부 이전 반대 공동입장을 발표했다.
허 시장은 입장 발표에 앞서 “코로나19로 온 국민이 방역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이 시점에 우리의 의지를 표현해야만 하는 상황이 송구스럽다”며 “이런 엄중한 상황에도 오늘 이 자리에 선 것은 중기부의 세종시 이전을 저지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그러면서 “혁신도시 지정으로 새롭게 도약하려는 중요한 시점에 중기부 이전 문제가 등장해 매우 안타깝다”며 “중기부 대전 잔류는 시장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안된다. 정치권과 시민 모두가 함께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박영순 의원은 “코로나19로 많은 국민들께서 걱정하고 계시는데, 오죽하면 이곳에 천막을 쳤겠는가”라고 반문하며 “오늘 투쟁은 시작일 뿐이다. 중기부를 대전에 잔류시킬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께서 함께하고 힘을 모아주시길 바란다”고 했다.
박범계 의원 역시 “혁신도시는 대전과 충청권이 함께 이뤄낸 지방분권의 획기적인 성과다. 그런데 느닷없이 중기부의 세종시 이전이라는 이슈가 나오며 이 성과가 묻혔다”며 “왜 대전시민들이, 시장과 6명의 국회의원이, 5명의 구청장이, 그리고 각 부문 시민·사회 관계자들이 이렇게 요청하는지 정세균 국무총리께서 들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중기부의 세종시 이전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이들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시민 의견을 경청해 이전을 결정하겠다 했고,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도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충분히 거치고 대전시 입장도 고려하겠다 했다”며 “행안부의 공청회 개최 계획은 대전시민을 우롱하는 처사다. 시민 10명 중 8명이 중기부 이전을 반대하고 있다. 당정은 시민의 의견을 듣겠다던 약속을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참석자들은 특히 중기부가 이전 근거로 내세운 타 부처 간 업무 협력의 어려움, 사무공간 부족 등의 이유도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다고 질타했다.
이들은 “2005년 중앙행정기관 이전 계획에 명시된 ‘정부대전청사와 비수도권에 있는 기관은 세종시 이전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원칙을 뒤집을 만큼 상황이 바뀌었거나 합당한 이유를 찾을 수 없다”며 “중기부 이전 시도는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원칙을 무너뜨리고, 혁신도시를 비롯한 국가균형발전의 근간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규탄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기부 대전 잔류를 관철시키기 위해 가능한 모든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며 “시민에게 권한을 위임받은 시장, 국회의원, 시의원, 구청장, 구의원으로서 우리는 시민의 뜻을 최고 가치로 받아들인다. 이는 우리의 의무이자, 시민의 명령”이라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중기부의 방침이 정해질 때까지 천막농성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허 시장은 “그동안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집단행동을 자제해 왔지만, 정부가 이전을 강행해 불가피하게 천막농성을 시작하게 됐다”며 “중기부의 방침이 정해질 때까지 여기서 생활할 것”이라고 했다.
세종=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