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거제형 고용유지모델, 조선 노동자 정리해고 막았다

입력 2020-11-30 14:48 수정 2020-11-30 15:06

숙련 노동자의 실직을 막기 위해 경남 거제시가 추진 중인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이 협력업체 근로자의 정리해고를 막아냈다.

경남 거제시는 대우조선해양 사내 하청업체인 ㈜명천 대표와 원청 및 협력사협의회 관계자, 노동자 대표, 조선하청지회 관계자 등 노사 양측이 참석한 가운데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 참여를 통해 해고 통보자에 대한 고용을 유지하는 노사합의서 체결을 이끌어 냈다고 30일 밝혔다.

명천 근로자들은 지난 9월부터 정리해고 철회를 내세우며 투쟁을 시작해 고공농성 등을 벌이다 지난 27일 협상타결로 농성을 마무리했다.

합의서는 김형수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장과 변광용 거제시장, 차상문 명천 대표가 각각 서명했다. 합의서에서 사측은 해고 통보자 중 사직서를 내지 않았던 3명의 근로자에 대하여 11월 임금을 지급하고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 모델’을 활용해 고용을 유지할 것을 약속했다.

이날 극적인 타협을 이끌어내며 하청 노동자의 고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은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명천은 계속된 경기불황과 코로나19로 인한 물량감소로 추가적인 인력조정 없이는 폐업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지난 4월부터 수차례 회사 자체설명회를 통해 소속 노동자의 명예퇴직 단행을 통보했다. 이에 일부 노동자들은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와 연계해 정리해고의 부당성을 지속적으로 반발해왔다.

시는 지난 10월 7일 정리해고 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는 하청 노동자들과의 1차 면담을 시작으로 총 6차례의 협의와 면담을 갖는 등 적극적인 중재를 진행,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 모델로 합의성사를 이끌어 냈다.

거제시는 이달 초 조선업 고용위기 극복을 위해 877억 원을 투입, 수개월간 준비한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을 발표했다.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은 지역특화형 직업훈련과 고용유지지원금, 일 등 세 가지를 융합·순환시켜 고용유지의 기본 틀을 잡고, 특별융자를 비롯한 다양한 지원책을 펴는 고용위기 대응 토털케어 모델이다.

명천의 근로자들은 이번 합의를 통해 고용유지모델의 고용안정 분야 중 하나인 ‘지역특화형 직업훈련’과 ‘고용유지지원금’ 제도를 적용 받아 고용을 유지한다.

변 시장은 “원청의 노동자와 면담을 가지면서 해결방안을 함께 논의하고, 합의를 위해 원청과 협력사 명천을 수시로 접촉하며 절박함과 진정성으로 임했다”며 “이번 타결은 상생을 위한 양보와 타협,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 모델의 작은 결실”이라고 말했다.

변 시장 또 “앞으로도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을 통해 협력사 노동자들의 고용을 안정화하는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면서 개인의 삶과 가족을 지키고 대우조선과 지역경제를 살리는 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