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증권사들이 내놓은 증시 전망이 올해도 대부분 빗나갔다. 예측하기 힘들었던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부분 증권사는 내년도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증권사들이 발간한 올해 증시 연간 전망 보고서에서 제시한 코스피의 예상 등락 범위(밴드)는 1900~2500 사이였다.
증권사별로는 메리츠증권·케이프투자증권 2000∼2500, 하나금융투자 2000∼2450, KB증권 1950∼2400, 한화투자증권·현대차증권 2000∼2350, IBK투자증권 1960∼2380, KTB투자증권 1900∼2300, 키움증권 1900∼2250 등이었다.
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지수 결과를 보면 증권사의 코스피 상단과 하단 전망은 맞았다고 보기 어려워 보인다. 올해 코스피 연저점은 종가 기준 지난 3월 19일 1457.64였고 연고점은 지난 27일 2633.45다. 장중을 기준으로 해도 연저점은 1439.43(3월 19일), 연고점은 2642.26(11월 25일)였다.
올해 증시를 비관적으로 본 증권사들은 세계 경제의 둔화, 미·중 무역분쟁의 격화로 상장사 이익이 기대에 못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반면 올해 증시를 낙관한 증권사들은 미·중 무역분쟁 완화를 기대하며 상장사 이익 반등을 전망했다.
하지만 올해 무엇보다도 크게 영향을 미친 건 코로나19였다. 어느 증권사도 지난 3월 코로나19로 코스피 지수가 대폭 하락했을 때 이를 예상한 곳은 없었다.
마찬가지로 3월 증시가 폭락한 이후 풍부한 유동성과 ‘동학 개미’로 불리는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열기에 힘입어 빠르게 반등하는 지수의 흐름도 쫓지 못했다.
이런 와중에 증권사들은 내년 코스피 상단을 대체로 2700~2900대로 긍정적으로 보면서 지수 밴드 범위는 더 안전하게 넓혔다.
각사가 지난 연말 발표한 올해 연간 전망에서 제시한 코스피 예상 상단과 하단 차이는 350~500포인트였다. 그러나 내년 전망에서는 지수 상단과 하단 차이가 최소 500포인트(케이프투자증권 2300~2800)에서 최대 750포인트(삼성증권 2100~2850)에 달한다.
내년 코스피 목표치를 최고 3000(흥국증권)까지 잡은 증권사도 있는 반면 지수 하단을 최저 1960(DB금융투자)으로 전망하는 곳도 있는 등 증권사들 대부분은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