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국내 코로나19 유행이 소규모 감염에서 대규모 감염으로 이어지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며 “3차 유행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강도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3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주말에도 불구하고 확진자 규모가 여전히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며 “소규모 감염이 가족과 지인, 동료를 거쳐 대규모 감염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 1총괄조정관은 “이 상황이 지속된다면 사람 간의 이동과 접촉이 많아지는 연말연시를 맞아 3차 유행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우려했다.
그는 “특히 젊은층을 중심으로 무증상 감염이 늘어나고 있어 기존의 진단검사, 추적 시스템만으로는 연쇄감염의 고리를 끊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는 증상이 없더라도 의심이 된다면 가까운 선별진료소를 찾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진단검사를 받아달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전날 코로나19 확산세를 억제하기 위해 수도권에서는 거리두기를 현행 2단계로 유지하면서 사우나와 단체운동, 음악교습 등 위험한 시설 및 활동에 대한 핀셋 조치를 도입하는 이른바 ‘2+α’ 조치를 시작하기로 했다. 비수도권의 거리두기는 일제히 1.5단계로 격상된다.
강 1총괄조정관은 “방역 당국은 내일(12월 1일)부터 전국에 걸쳐 감염 위험이 높은 다중이용시설과 젊은 세대 중심의 위험도 높은 활동에 대한 방역 조치를 대폭 강화했다”며 “감염 위험성이 큰 10인 이상의 모임은 취소해주기를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는 권역별 상황과 병상 현황을 중점 검토한다.
강 1총괄조정관은 “지역별로 필요한 생활치료센터와 중환자 치료병상 등이 충분히 확보됐는지 점검하고 필요한 대책을 적극 강구해나가겠다”고 전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