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최초 수소충전소인 ‘양재수소충전소’가 최신 설비로 새단장하고, 충전능력을 2배 이상으로 대폭 강화해 내년 1월 재오픈한다.
1일 수소저장능력이 2.5배(120→300㎏)로 커지고, 1일 충전가능차량도 기존 24대에서 60대 이상으로 2.5배 이상 확대된다.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로 불편을 겪었던 친환경 수소차 이용 시민들의 불편이 다소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현대자동차가 연구용으로 운영했던 양재수소충전소의 운영권을 올해 9월 넘겨받은 데 이어 관할 자치구인 서초구로부터 시설개선 허가 절차를 완료해 30일 공사에 본격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양재수소충전소는 상암, 강동상일, 국회 수소충전소와 함께 서울시내 4개 충전소 중 하나로, 2010년에 구축된 서울시 최초 수소충전소이다. 2018년부터 일반수소차 운전자를 위해 충전시설을 개방해오다 올해 1월 설비 고장 등으로 운영이 중단됐다.
서울시는 시설개선을 앞두고 지난 10월 서초구민을 대상으로 비대면 주민설명회를 열고 양재수소충전소의 시설개선 방향, 수소충전소의 안전성‧친환경성, 수소경제 활성화 필요성 등을 소개하면서 수소충전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서울시와 서초구는 사전 협의 과정에서 허가를 2차례 연기할 정도로 주민 요구사항을 면밀히 검토했다.
수소충전소 이용 차량으로 인한 일대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현재 1개인 출입구를 2개로 확대하고, 안내표지판도 확대 설치하기로 했다. 또 서울에서 수소차가 가장 많이 보급된 서초구 주민들의 충전 편의를 고려해 법률자문 등을 거쳐 정식 개장 후 1년 간 충전요금을 20~30% 할인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양재수소충전소 재개장을 준비하는 동시에 친환경 수소차 추가 보급에도 나선다. 서울시는 충전 인프라 규모를 고려해 수소차 보급 규모를 정하고 있는데 ‘양재수소충전소’ 개장에 맞춰 수소차 보급 물량도 확대하는 것이다. 올해 1월부터 지금까지 약 950대를 보급한 데 이어 30일부터 261대 규모로 ‘2020년 제2차 수소차 보조금’ 추가 접수를 한다.
수소차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엔진이 없어 대기오염 물질이 배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공기정화 기능이 있어 공기 중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기능이 있다. 이에 서울시는 전기차와 함께 수소차 보급을 통해 친환경차 대중화를 선도하고 서울 도심의 미세먼지 저감과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