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준법투쟁 돌입…한국철도 “열차 지연 최소화할 것”

입력 2020-11-27 13:07
기자회견 하는 철도노조 조합원들. 연합뉴스

한국철도(코레일)와 교대근무제 도입 및 임금협상 등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전국철도노조가 27일 오전 8시부로 안전운행 실천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한국철도는 노조의 전향적 결단을 촉구하며 열차 운행 지연 등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철도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노조는 지난 20일 안전운행실천 준법투쟁 돌입을 유보하고 한국철도·국토교통부의 책임 있는 태도를 다시 한 번 촉구했다”며 “그러나 노사정협의 당사자인 국토부는 어떤 답변도 없이 대화를 회피했고, 철도공사 경영진은 눈치만 보며 ‘어렵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고 했다.

노조는 지난 1월 시행을 합의한 노동시간 단축, 교대제 개편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며 사측을 비판했다.

특히 이날 파업으로 발생하는 차질·혼란은 전적으로 최소한의 합의조차 이행하지 않는 한국철도와 국토부에 있다고 노조는 주장했다.

조상수 철도노조 위원장은 “산업 재해 1위인 철도 안전 확보를 위한 노동시간 단축 교대제 개편, 비정규직 처우 개선 등 노사 간 합의가 줄줄이 파기되고 있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철도산업 위기극복 재정지원은 물론 공공성 강화를 위한 철도 통합 약속조차 지켜지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현실을 제대로 돌려놓을 수 있는 것은 이제 철도 노동자의 단결된 투쟁 뿐”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한국철도는 노조의 준법투쟁을 ‘태업’으로 규정하고 열차 운행의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먼저 비상대기 열차 및 차량정비 지원 인력을 총동원해 지연 발생 시 긴급 투입하고, 역 안내 인력을 추가로 투입해 열차 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노조의 준법투쟁 기간 중 열차에 대한 환불(취소), 변경 수수료는 면제된다.

코로나19 방역의 경우 출발·도착역에서 시행하는 객실 소독작업에 인원을 보강한다.

특히 철도고객센터 전화 문의는 코레일네트웍스가 파업 중인 만큼 모바일앱인 ‘코레일톡’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열차운행 상황을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손병석 한국철도 사장은 직원 담화문을 통해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매우 엄중하고 대학수학능력평가시험을 일주일 앞둔 시기, 태업은 국민의 불안을 증폭시키고 철도 안전과 방역에 대한 불신만 높일 뿐”이라며 “국민 누구나 편하고 안전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현명한 판단을 바란다”고 입장을 밝혔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