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게 축전을 보내자 중국 관영 매체들은 기다렸다는 듯 미·중 관계 복원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중국 매체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포위 구상이었던 ‘인도·태평양 전략’을 버리고 과거 ‘아시아·태평양 전략’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했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26일 논평에서 트럼프 행정부 이전에 쓰였던 아시아·태평양과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쓰인 인도·태평양은 미묘한 차이가 있다고 분석했다. 우선 아시아·태평양은 경제 협력을 함축하는 개념으로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이 핵심 축이라고 봤다. 반면 인도·태평양은 중국을 타깃으로 한 구상으로 미국·일본·인도·호주 4국의 안보대화(쿼드)가 주축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는 아시아·태평양을 인도·태평양으로 강제 대체함으로써 모든 나라가 누구 편을 들어야 하는 풍토를 조성했다”며 “바이든 행정부는 지역 현실에 역행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추종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아태 지역 대다수 국가는 인도·태평양 국가가 되는 데 관심이 없다. 그들은 미국이 패거리를 형성하려는 시도에 형식적으로 반응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아시아·태평양 재균형 전략’을, 트럼프 행정부 때 ‘인도·태평양 전략’을 아시아 정책의 기본 틀로 삼았다. 기본적으로 중국의 역내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려는 취지지만 압박 강도는 인도·태평양 전략이 훨씬 세다는 평가다.
트럼프 대통령 재임 기간 미·중 정상은 한동안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전략으로 중국을 압박하고 중국 역시 맞대응하면서 양국 갈등은 전방위로 확산됐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직접 소통은 지난 3월 말 전화통화가 마지막이었다.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곧 떠나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유화 제스처로 퇴임 후 그를 중국에 초청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앞으로 두 달 남은 임기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극단적인 대중 정책을 추진하지 못하도록 방중 초청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것이다.
시 주석이 25일 뒤늦게 바이든 당선인에게 보낸 축전은 중국 정부가 바이든 당선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의미다. 축전에는 미·중 관계의 안정적 발전, 상호 존중과 협력을 추진하자는 내용이 담겼다. 중국 정부는 선거 결과에 승복하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을 의식해 그동안 바이든 당선을 축하하면서도 당선인이라는 호칭은 쓰지 않았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