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방침으로 국내 항공계의 지각 변동이 예상되는 가운데 부산상공계가 저비용항공사(LCC) 통합 본사를 부산에 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최근 국토부와 산업은행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합병을 추진함에 따라 자회사인 LCC 3사(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 통합과 관련해 부산 상공계 입장을 담은 성명을 26일 발표했다.
부산상의는 에어부산은 지역 항공산업 육성을 위해 부산상공계가 탄생시킨 기업이라며 “에어부산이 부산지역에서 가지고 있는 유무형의 가치가 이번 LCC 3사 통합논의로 인해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합논의의 중심에 반드시 에어부산을 참여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에어부산은 창립 이후 지역 맞춤형 경영과 지역 내 부족한 양질의 일자리 공급을 통해 향토기업으로 그 입지를 다져왔으며 현재 추진 중인 가덕신공항 건설과 함께 세계적인 저비용항공사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부와 산업은행이 통합계획을 밝히는 과정에서 ‘통합 LCC는 지방 공항을 기반으로 새롭게 영업할 수 있을 것’이라는 국토부의 약속을 적극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또 정부가 LCC 통합으로 인한 일부 인력중복 문제는 신규노선 개척을 통해 흡수하겠다고 한 만큼 통합 이후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없는 고용유지의 약속을 이행하고 LCC 통합 이후에도 지역 소비자의 편익이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계획대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통합된다면, 지난 32년간 이어진 양대 국적항공사 시대가 막을 내리고 세계 7위 수준의 운송량을 갖춘 대형 국적 항공사가 탄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양쪽 항공사가 보유한 저비용항공사(LCC)도 통합이 예상된다. 대한항공이 보유한 진에어와 아시아나항공이 보유한 에어부산·에어서울이다.
한편 부산상의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합병의 최대 걸림돌인 ‘제삼자 배정 유증 금지 가처분 신청’의 결과에 따라 향후 계획이 달라질 수 있지만, 합병에 문제가 없는 쪽으로 결론이 나면 LCC 통합에 따른 지역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빠르면 12월 초 부산시의회, 상공인 주주, 시민단체 등과 긴급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