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집단행동’ 검찰에 경고 “자성하고 성찰해야”

입력 2020-11-26 11:06 수정 2020-11-26 11:13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발언을 마친 뒤 물을 마시고 있다. 연합뉴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6일 윤석열 검찰총장 직무정지를 두고 일선 검사들이 반발하는 등 검란(檢亂) 조짐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검찰 내부의 집단행동 움직임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경고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대검 검찰연구관들이 검찰 내부 통신망에 성명을 냈다는데 불법 사찰은 정당한 검찰 업무가 아니며, 법치주의를 훼손한 것은 바로 검찰이다. 윤 총장 징계 절차는 검찰청법에 따라 적법하게 책임을 묻고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김 원내대표는 “검사가 증거로 재판을 해야지 재판부 성향으로 유죄를 만들어내겠다는 생각은 검찰이 재판부 머리에 있겠다는 발상이다. 진상 규명을 요청한 일선 판사의 일성을 검찰은 새겨야 할 것”이라며 “지금 검찰이 해야 할 일은 검찰 내부에 만연한 검찰 불감증을 되돌아보는 것이다. 자성하고 성찰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검찰의 재판부 사찰 의혹에 대해선 “사찰 문건을 작성한 검사는 정당한 행위를 했다는 해괴한 논리를 펴는데, 사찰을 적법한 직무인 것처럼 항변하는 담당 검사의 모습에서 그동안 검찰이 검찰권 남용에 얼마나 둔감했는지 알 수 있다”며 “불감증에 빠져 법이 정한 직무 범위를 벗어난 일조차 합법이라고 우겨대는 총장과 일부 검사들의 행태는 참으로 개탄스럽다”고 비판했다.

이어 “사찰 문건이 재판에 어떻게 활용됐는지 명명백백하게 밝혀져야 한다”며 “실제 검찰에 불리한 판결이 나자 불법 사찰 내용이 언론에 보도되고 해당 판사에 대한 야당의 정치 공세에도 쓰였다고 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원내대표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후보추천위원회의 후보 압축이 또다시 무산된 데 대해선 “야당 추천위원들은 비토권을 만능키처럼 지난번과 같이 회의를 무력화했다”고 성토한 뒤 “민주당은 법사위를 중심으로 개정안을 추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절차와 합의가 중요하기에 우리 당은 법 시행을 4개월 이상 넘기며 야당을 설득해 왔다. 국민의힘은 상대 당의 정책을 모조리 거부하고 파당정치, 비토크라시만 보였다. 야당의 이 같은 입법 발목잡기, 개혁 발목잡기는 더이상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며 “(공수처장으로) 적합한 분이 추천되도록 합리적 절차를 마련할 것이다. 공수처는 반드시 출범한다”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