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구에 사는 지역민들이 가장 높은 자부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부심이 가장 낮은 지역은 사하구였다.
부산시는 최근 불균형실태분석지표를 개발한 데 이어 불균형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시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과 함께 총 4개 영역 28개의 불균형실태분석지표를 개발했다. 이 지표는 부산시민의 삶의 질적 측면을 고려해 지역 내 각 구·군의 발전 정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평가하는 지표다. 특히 지속해서 측정·조사할 수 있도록 부산통계연보와 부산사회조사 등을 기초로 개발했다. 앞으로 이 실태분석 결과는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균형 발전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불균형실태분석을 위해 지난 5개월간 인구 활력, 산업·경제, 주거생활 환경, 교육문화복지의 4개 영역에 인구 증감률, 가구당 월 평균소득 500만 원 이상 세대 비율, 대기오염지수, 공연장 및 경기장 수 등 20개 객관지표와 지역 애착도, 임금, 주거, 대중교통, 환경, 여가, 의료서비스 만족도 등 8개 주관지표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인구 활력’ 분야는 강서구·동래구·기장군·연제구·동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산업·경제’ 분야는 강서구의 객관지표 및 임금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왔다.
‘주거생활 환경’ 분야는 해운대구가 객관지표와 대부분의 주관적 만족도 지표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고, ‘교육문화복지’ 분야는 금정구·동래구·연제구가 있는 동래권에서 객관지표 및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가장 종합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는 ‘지역민으로서의 자부심’은 해운대구가 가장 높게, 사하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8개 주관적 만족도 지표 중 임금 만족도의 평균점수가 타 부문의 만족도에 비해 가장 낮게 나타났고, 대중교통 만족도에서 구·군간 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대중교통 만족도의 격차가 큰 이유는 강서구의 만족도 점수가 유달리 낮게 나왔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앞으로 불균형실태분석을 매년 시행하고, 도시균형발전사업의 성과 및 지역 내 불균형 격차를 계속 모니터링할 것”이라며 “부산시민이라면 누구나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역 간 격차를 적극 해소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