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구는 감소하는데 1인 가구는 16배 증가…주택 정책 변수로

입력 2020-11-25 09:47


지난해 서울의 1인 가구는 약 130만 가구로 40년 만에 약 16배 증가해 전체 가구의 33.9%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인구가 199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1인 가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주거정책 등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서울시의 정책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서울의 1인 가구는 2038년까지 증가하며, 전체 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중은 2047년까지 증가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화에 따른 독거 노인가구 증가와 만혼·비혼 등 중장년층 1인 가구 증가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도시화의 영향으로 청년인구(20~39세)가 유입되던 1994년 이전에는 1인 가구의 70%가 20·30대였으나 고령화에 따라 2015년 이후에는 40대 이상이 1인 가구의 절반을 넘어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9년 1인 가구의 거처는 단독주택(40.4%), 아파트(22.1%), 다세대 주택(17.2%)순으로 유형이 다양해졌다. 특히 오피스텔, 숙박업소객실, 고시원 등 주택이외에 거처하는 1인 가구 비율이 15.4%로 높게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주거형태 다양화는 복지나 정책 수요도 다양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서울시가 10월 16일~21일 1인 가구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40.9%는 서울시가 1인 가구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사회라고 생각하며, 62.8%가 계속 1인 가구로 남기를 원했다. 하지만 1인 가구의 30.1%는 1인 가구가 살아가기 적합하지 않은 사회이고, 1인 가구의 35.9%는 ‘1인가구는 여러 문제가 있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족한 사람’이라는 사회적 편견이 있다고 생각했다. 1인 가구의 사회관계성은 다인 가구주보다 30대 이후 큰 폭으로 감소했다. 1인 가구 내에서도 개인 행복도와 사회 관계성은 20대와 30대에서 높고 50대와 60대에서는 낮게 나타나는 등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서울시가 1인 가구를 위해 우선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항으로는 주거안정 지원(55.0%), 기본소득 지원(31.1%), 연말정산 소득공제 범위 확대(19.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과 20대, 60대는 ‘방범·치안 등 안전 확보’에, 40대 이상은 ‘고독사 예방 등 사회적 관계망 지원’ ‘건강보험료 지원’에 관심이 높아 성별, 연령별로 1인 가구 정책 수요에 차이를 보였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25일 “1인 가구 정책은 성·연령·직업 등 가구 특성에 따라 정책수요가 다양해지고 있다.”며 “서울시는 1인 가구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으로 다양해지는 정책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