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공기관과 대기업의 여성 관리자 비율이 여전히 20%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해야 하는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 대상 절반 가까이가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 대상 공공기관, 지방공사·공단, 500인 이상 민간기업 등 2486개 사업장 가운데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비율 기준에 미달한 곳은 1205곳(48.5%)에 달했다.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는 여성 고용 기준을 설정해 고용상 성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로, 대상 사업장은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비율이 해당 산업 등 평균의 70%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지방공사·공단 중에는 기준에 못 미치는 비율이 63.6%에 달했다. 민간기업(48.1%)과 공공기관(43.5%)이 뒤를 이었다.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 대상 사업장은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의 평균 비율은 각각 37.7%, 20.9%에 그쳤다.
지방공사·공단의 경우 여성 관리자 비율은 8.5%로 10%에도 못 미쳤다. 공공기관(20.7%)과 민간기업(21.9%)의 여성 관리자 비율도 여전히 낮았다.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비율은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를 도입한 2006년 이후 서서히 상승하고 있지만 최근 수년 동안 사실상 정체 상태에 있다.
산업별로 보면 여성 고용 비율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72.57%)이 가장 높았고 여성 관리자 비율은 음식점업(55.62%)이 가장 높았다. 여성 고용 및 관리자 비율 모두 가장 낮은 산업은 ‘중공업으로 각각 5.20%, 1.54%를 기록했다.
올해 여성 고용 기준 미달 사업장은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고용 목표, 남녀차별 제도와 관행 개선 방안 등이 담긴 시행 계획서를 노동부에 제출해야 한다. 3년 연속 기준 미달이면 내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에 명단이 공개된다.
노동부는 올해부터는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 대상 사업장의 성별 임금 현황 자료도 제출받기로 했다.
한국의 남녀 임금 격차(남성 임금 대비 남녀 임금 차액의 비율)는 지난해 32.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여전히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