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야권연대 굉장히 회의적…야권엔 국민의힘뿐”

입력 2020-11-24 17:33 수정 2020-11-24 17:42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승리를 위한 야권연대 가능성에 대해 “실질적으로 야권연대를 할 세력이 있는가에 대해서 굉장히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국민의힘이 서울시장을 당선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게 가장 현명하다”면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연대 제안을 거듭 일축했다. 최선의 보궐선거 전략은 당의 역량을 키우는 것뿐이라는 의미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안 대표의 야권연대 구상에 관한 질문에 “야권에 국민의힘 외에 확고한 세력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3석의 국민의당을 연대세력으로 볼 수 없다는 뜻이다. 김 위원장은 안 대표를 겨냥해 “일부 사람이 자기 개인적 입지를 확보하기 위해 야권 연대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데 거기에 현혹돼 정력을 낭비하다보면 자체의 힘을 기르는 데도 장애가 될 것”이라고도 했다.

김 위원장은 수감 중인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 요구와 관련한 질문엔 “여러가지 걱정을 안 하는 건 아니지만 사면에 관한 것은 오로지 대통령의 결단으로만 결정할 수 있다. 사면에 대해 뭐라고 논의하기가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변했다.

국민의힘 당명이 공산주의나 사회주의 정당명과 유사하다는 질문도 있었다. 김 위원장은 “과거의 당으로부터 우리가 일신해서 등장하지 않으면 집권할 수 있는 희망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당명을 바꿨다”고 말했다. 이어 “매번 위기에 처했을 때 국민의힘이 작동해서 경제적 정치적 성과도 이뤘다. 국민의힘이 이 나라를 끌고 가는 원동력이기 때문에 당명을 정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강제징용 문제를 비롯한 한·일관계 개선 방안으로 거론되는 일본 기업 자산의 현금화 유예안에 대해선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일 양국 정상이 만나 협의를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의 한·미관계에 대해선 “지금까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큰 틀에서 한·미 관계에서 외교적 변화는 있으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가 추진하는 대북 정책이 (바이든 행정부) 이전과 똑같은 방법으로 유지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했다.
김종인(왼쪽)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서울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 도중 같은 당 조태용 의원과 무언가 논의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대북 정책과 관련해 “한국 정부 스스로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역량을 갖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보수 진영 일각에서 제기됐던 한국의 자위적 핵무장론에 대해선 “(미국의 핵우산이) 불가능하면 우리도 핵무장에 대해 생각을 다시 해볼 필요가 있지 않은가 한다”고 답변했다.

김 위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거론하면서 “집권 세력이 국민 편가르기식 분열 정치에 몰두하면서 정치의 양극화도 심각한 상황”이라고 정부·여당을 비판했다. 또 “국민의힘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재집권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강도 높은 당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