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제약회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학이 공동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효과가 70.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90% 이상의 효과를 보인 미국 화이자와 모더나에 비교하면 초라한 수치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는 임상시험 중간결과를 발표하고 자사 백신이 70.4%의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수치는 두 가지의 다른 투약법에 따른 효과를 평균 낸 것이다. 27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제1투약법은 90%의 효과를 보였지만 제2투약법 실시군 9000명에서는 62%의 효과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에 따라 투약법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최종 시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제2투약법은 1회분을 투약받고 한 달 뒤 또 1회분을 투약받아 총 2회분을 맞는 방식이다. 최적의 효과를 보인 제1투약법은 반(半)회분만 투약받고 한 달 뒤 1회분을 투약받는 것이라고 전해졌다.
앤드루 폴라드 옥스퍼드대 백신임상시험 수석조사관은 “이번 결과는 우리 백신이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할 것이란 걸 알려줬다”면서 “90%의 효과를 보인 투약법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면 훨씬 많은 사람들이 백신을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보인 70.4% 효능은 모더나(94.5%)나 화이자(95%)와 비교하면 다소 실망스러운 수치다.
다만 심각한 수준의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은 긍정적인 결과로 해석된다. 또 아스트라제네카에 따르면 임상시험 과정에서 단 한 명도 입원을 요할 정도의 상황에는 처하지 않았다.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에 비해 유통과 접종이 용이하다는 점도 강점이다. 모더나와 화이자는 유통 과정에서 영하의 온도가 유지되지 않으면 변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상온에서 냉장 보관이 가능하다. 초저온 냉동설비를 마련하기 어려운 중·후진국에서 반길 만한 소식이다. 아직 정확한 가격은 책정되지 않았지만 앞선 두 백신보다는 훨씬 저렴하게 공급될 것으로 블룸버그는 예상했다.
연구에 참여한 사라 길버트 옥스퍼드대 백신학 교수는 “우리는 백신규제당국에 계속해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하겠다”면서 “다국적 노력의 집합체인 백신 연구는 전 세계를 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