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은 지난해보다 추워질 전망이다. 초겨울인 내달도 평년보다 다소 추울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23일 ‘3개월 기상 전망(2020년 12월~2021년 2월)’을 발표하고 이같이 예측했다. 올 겨울은 지난해 겨울(평년편차 +2.5도)보다 추운 날이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북쪽에서 남하하는 찬 공기의 영향과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으며 기온 변화가 클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찬 공기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크게 떨어지는 날이 종종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12월 평균기온은 평년(1∼2도)과 비슷하거나 낮겠고, 내년 1월(영하 1.6~0.4도)과 2월(0.4∼1.8도)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높다고 내다봤다. 초겨울인 12월 전반에는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날이 있겠고, 12월 후반부터는 북쪽에서 남하하는 찬 공기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을 전망이다. 1월도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기온 변화가 크겠다. 2월부터 찬 공기의 세력이 약화되며 기온이 차차 오르겠으나 일시적으로 기온이 크게 떨어질 때가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으며,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건조한 날이 많을 전망이다. 기상청은 다음달과 내년 2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1월은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강원영동은 저기압과 동풍의 영향, 서해안과 제주도는 12~1월 지형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눈이 내릴 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올 겨울도 따뜻했던 지난해 겨울이나 폭설이 내렸던 2018년 겨울처럼 이상기후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기상청은 이번 기상전망에서 최근 지속되는 라니냐 상태와 북극해빙의 증가추세를 들어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이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지속적인 온난화 경향과 북극진동 등으로 인해 겨울철 기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예측하기 어려운 블로킹이나 특이 기압계가 발생할 경우 이상기후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