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미래 모빌리티 운영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산연구원은 23일 ‘혁명적 진화 중인 미래 모빌리티 부산의 운영 방안’보고서를 발표하고 새로운 첨단산업군 개발 등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운영 방안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SF영화에서 접할 수 있었던 미래 모빌리티가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AI) 등과 접목해 혁명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량은 2030년쯤 완전 자율주행차량이 생산될 예정이고 드론 형태의 개인 비행체(PAV)는 사람을 실어나르는 데 성공한 데 이어 도심 항공 모빌리티로 확장되고 있다. 또 하이퍼루프(Hyperloop)는 해외의 유인 주행시험, 국내의 시험선 계획 등 실용화 시기가 가까워지고 있다.
수년 전부터 제조·디지털·에너지 기술이 접목된 자동차의 전기화와 자율주행·플랫폼화는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인 CES에 단골로 등장하고 있다. 마하 5 이상의 극초음속 여객기와 시속 1200㎞ 하이퍼루프 등 대형 운송수단에서 드론처럼 도심에서 운용되는 개인 비행체 등 개인용 이동수단까지 전방위를 포괄하는 미래 모빌리티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
초고속철도·자율주행자동차·전기자전거·개인용 교통수단 등 다양한 교통수단 변화뿐만 아니라 교통관리체계와 교통 시스템 공유, 스마트 주차 등 교통 시스템도 AI 등과 융합해 급속 발전 중이다.
이런 상황에도 부산시의 미래 모빌리티 관련 계획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보고서는 ‘국가 계획과 연계한 부산시 미래 모빌리티 도입 연구 필요’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자율주행차량·개인 비행체·하이퍼루프·위그선(Ground, Sea & Air MaaS) 연계’ ‘미래 모빌리티의 2030 부산월드엑스포 이동 교통수단 활용’을 부산시의 미래 모빌리티 운영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이원규 선임연구위원은 “부산시는 미래 모빌리티는 수소를 중심으로 하는 친환경 시스템으로 구축, 운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동남권 자동차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한 수소 자율주행차량 생산, 수소 개인 항공기 생산 및 수소 운영 도심 항공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정부의 관련 R&D 사업 조기 대응, 새로운 첨단산업군 개발 등에 선제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