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한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두 아들의 재산 논란과 관련해 “증여세를 (원금액보다) 더 많이, 다 냈다”며 부정한 부분이 없다고 강조했다.
금 전 의원은 2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두 아들의 강남 빌라 증여세 납부 논란에 대해 재차 해명했다. 앞서 장인이 강남의 모 빌라를 증여해 금 전 의원 두 아들이 각각 빌라 지분 7억3000만원, 예금 8억7000만원씩을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아들 증여세 논란’이 불거졌다.
금 전 의원은 “(증여세) 자금 출처는 확실하다. 저희가 번 돈으로 냈다. 저희 부부가 (증여세 납부를) 도와주는 부분에 대한 증여세까지 다 냈다. 두 번 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처음 문제를 제기한 분은 그 당시 실거래가로 계산하면 8억원 정도를 (증여세로) 내야 하는데 덜 낸 것 같다고 하셨는데, 그 돈보다 더 냈다”고 첨언했다.
자녀가 증여받은 사실이 국민에게 박탈감을 주는 것에 대해서는 “좋은 환경 덕에 많은 혜택을 받은 건 사실”이라면서도 “잘못된 삶을 살았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보다 어렵고 힘든 분들이 있기에 그분들을 잊지 말고 기여하며 살겠다고 다짐한다”고 말했다.
금 전 의원은 두 아들의 재산이 공개되면서 ‘내로남불’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가 지난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게 자녀 관련 논란을 지적하며 “청년들에게 사과하라”고 큰소리쳤기 때문이다.
금 전 의원은 “조 전 장관 인사청문회 당시 5000만원을 자녀들한테 증여했다고 제가 공격하는 말이 돌아다니는데 사실과 다르다. 인사청문회에서 이야기 자체가 안 나왔다. 그건 날조된 뉴스”라며 “그때 문제가 됐던 건 조 전 장관 부부가 근무했던 학교에서 장학금을 자녀들이 받는다거나 인턴 기회를 받는다든지 하는 불공정한 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금 전 의원은 내년 4월 서울시장 출마 여부에 대해 “제가 서울시장이 되고 안 되고를 떠나서 그 선거에서 맡을 역할이 있으면 책임을 져야겠다”며 도전 의지를 피력했다. ‘부동산 정책 정상화’를 시급한 과제로 꼽은 그는 “투기세력 잡겠다며 대출 규제를 해 진짜 내 집 마련을 하고 싶은 3040대의 꿈을 꺾어놓고, 민간임대주택 장려하다 갭투자로 불안정한 상황이 온 것”이라고 진단했다.
금 전 의원은 다만 극민의힘 입당 가능성은 배제했다. 그는 “국민들이 집권세력에 대해 ‘독주를 견제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시지만 야당에 대해서도 신뢰하지 않고 있다”면서 “제가 그냥 국민의힘에 입당하면 (야당을) 변화시키지 못하고 그냥 합치는 것이다. 제1야당도 변해야 하고 저도 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