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가구의 월평균 월세 지출이 지난해 3분기보다 1.6% 늘어났다. 최근 전세를 월세로 바꾸는 집주인이 늘면서 올해 들어 처음 증가세로 전환했다.
23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세 등 실제주거비 지출은 월평균 8만42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1.6% 늘어난 수치다. 이는 자가나 전세로 거주해 월세를 부담하지 않는 가구까지 포함해 산출한 평균치다. 따라서 실제 월세로 사는 가구의 지출은 이보다 훨씬 많다.
가구당 실제주거비 지출은 올해 1분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 줄어든 7만3700원, 2분기에는 1.8% 감소한 7만8900원이었다. 하지만 3분기 들면서 8만4000원대로 늘어났다.
새 임대차보호법 시행, 정부의 다주택자 규제 강화 등 부동산 정책 영향으로 전세를 월세나 반전세로 돌리는 집주인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월세 자체가 오른 점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
실제주거비 지출은 전세는 포함되지 않고 월세 및 기타의제주거비로 구성된다. 무상주택, 영구임대, 사택 거주자가 유사한 시설을 빌릴 때 내야 하는 기타의제주거비는 비중이 작아 실제주거비 지출은 대부분이 월세 지출이다. 월세 부담이 그만큼 늘어났다는 의미다.
소득 계층별로 보면 소득 하위 20% 계층인 1분위의 실제주거비 지출은 월평균 9만5500원, 2분위의 지출은 평균 9만6400원이었다. 전체 계층 평균보다 월세 지출이 더 많은 셈이다.
반면 소득 상위 60%의 월평균 실제주거비 지출은 하위 40%보다 적었다. 고소득층일수록 자가에 거주하는 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소득 3분위 가구의 월평균 월세 등 실제주거비 지출은 7만5600원, 4분위는 6만9600원, 5분위는 8만4100원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실제주거비 지출은 3분기 들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세로 전환했다. 월세로 거주하는 비중이 늘어난 점 등이 영향을 줬다고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