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1일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 차원에서 중국의 격자무늬 바코드(QR코드) 시스템을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QR코드는 스마트폰으로 인식하고 기록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현재 중국은 QR코드를 활용한 입국 심사 및 추적 시스템을 갖췄다. 다만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문제가 커 다른 나라에선 활용하기 어렵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시 주석은 G20 정상의 화상회의에서 여행객의 코로나19 검진 결과 및 신상 정보를 QR코드 형태로 공유하면 국경을 넘나드는 이동이 원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화통신이 발행한 녹취록을 보면 시 주석은 “더 많은 국가에서 이 작업에 동참하기를 바란다”며 “관련 정책을 표준화하면 세계 인구가 질서있게 이동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의 제안은 코로나19 사태에 중국이 할 일을 언급하던 와중에 나왔다. 그는 중국이 다른 나라와 기꺼이 백신을 공유할 용의가 있다고도 했다.
중국에서는 지난 2월 개인 건강상태와 여행기록을 담은 휴대전화 QR코드 발급이 의무화됐다. 녹색 QR코드는 보유자가 건강하고 여행할 수 있다는 의미다. 노란색이나 빨간색 QR코드는 개인을 격리해야 한다는 뜻이다.
최근 중국 정부는 해외 입국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 절차를 대폭 강화했다. 국내외 입국자들은 48시간 안에 기존 코로나19 검사는 물론 항체검사까지 받은 뒤 2주간 격리된다.
홍콩 정부도 중국의 QR코드 시스템을 도입하려고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발 QR코드가 도입되면 홍콩 주민들은 14일 동안 자가격리 없이 본토에 입국할 수 있다. 하지만 홍콩에선 QR코드의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고 SCMP는 전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