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 78일 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시는 원인으로 지난 8월 ‘광복절 집회’를 꼽았는데 이를 두고 누리꾼들과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박유미 서울시 방역통제관은 19일 코로나19 온라인 브리핑에서 “(세 자릿수 확진자는) 지난 8월 광복절 집회와 관련된 집단감염의 영향”이라며 “확진자들의 GPS를 분석한 결과 핼러윈데이나 지난 주말 도심 집회와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상당수의 젊은 층이 클럽이나 주점 등 번화가에 모였던 핼러윈데이나 지난 주말 민주노총이 99명씩 쪼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한 집회의 여파로 확진자가 증가한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박 통제관은 앞서 광화문 집회에 따른 세 자릿수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로부터 2개월가량 시차가 있는 점에 대해서는 “8·15 집회 당시 (확진자 수가) 많이 발생해서 아마 지역사회에 꽤 많이 잔존 감염을 시켜놨다고 판단한다”며 “이것이 최근 발생하는 소규모 다발성 집단감염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서울의 신규 확진자 숫자는 광복절 집회가 열리고 2주 뒤인 지난 9월 2일 101명을 기록했다. 이후 한때 10명대까지 떨어졌던 확진자 숫자는 이달 중순부터 가파르게 늘어나 이날 다시 세 자릿수 확진자(109명)가 나왔다. 지난 9월 2일 이후 78일 만이다.
그러나 누리꾼들은 ‘3개월 전 집회’를 원인으로 지목한 서울시의 분석을 신뢰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두 달 넘는 시차가 있다면 2주간 자가격리는 쓸모없는 것”이라며 “1단계로 낮춘 것도 지역사회 감염을 파악 못 한 안일한 대응이었다는 거냐”고 비판했다.
다른 누리꾼도 “3개월 가까이 뭐를 하다가 이제 와서 탓하냐”고 비난했다.
‘광복절집회 만물탄생기원설’ ‘3·1 운동이나 경부고속도로가 생긴 게 이유가 되겠다’는 등 비꼬는 반응도 나왔다.
전문가도 광복절 집회보다는 최근의 느슨해졌던 거리두기를 최근 확진자 증가의 배경으로 꼽았다.
김탁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는 국민일보에 “3달 전 집회의 영향이라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약화되면 언제든 생길 수 있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