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격 소음 및 환경 피해 등으로 13년 간 극심한 갈등을 겪던 충남 보령시의 한 공군부대 사격장과 인근 주민들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전망이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19일 도청에서 이동원 공군 방공유도탄사령관, 김동일 보령시장과 함께 ‘보령 공군대천사격장 주변지역 상생협력을 위한 합의서’에 서명했다.
이날 행사는 민관군협의회 위원과 주민대표인 문수환 환경피해협의회 위원장도 참석했다.
1961년 주한미군이 설치한 보령 공군사격장은 1977년 미군이 철수한 이후 국군이 인수해 사용 중이다.
최근에는 방공유도탄사령부가 공군으로 편입, 공군 사격장으로 활용되면서 갈등의 싹이 트기 시작했다. 이 사격장에서만 매년 150일 가까이 사격이 진행되면서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극심한 소음 피해를 호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특히 이 부대가 소음 피해 뿐 아니라 환경에도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과거 미군 부대가 주둔할 당시 폐유를 불법으로 매립해 마을의 지하수가 오염됐고, 공군사격장 소음 및 화약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주민들의 암 발생 사례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부 등에서 진행한 조사에서 ‘공군사격장과 암 발생 간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없다’는 결과가 나와 갈등은 여전히 봉합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도는 주민피해협의회와 보령시, 공군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군협의회를 구성하고 상생협력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체결한 협약에 따라 민관군협의회는 향후 사격장 주변지역 피해 주민들의 문제를 청취하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격장 주변지역 발전 계획 수립, 군 시설개선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협의회는 또 사격장 주변지역에서의 문화 행사 개최 및 재해 복구 실시, 사격 훈련 시 주변지역과의 문제 발생 최소화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또 주민지원 사업 관련 용역을 진행하는 등 상생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협력 방안 기틀을 마련하기로 했다.
양승조 지사는 “사격장은 군 임무 수행을 위해 운영이 불가피하지만, 그로 인한 생활의 불편과 환경 피해는 주민들이 고스란히 감내하고 있다”며 “그동안 불편함을 견딘 지역민의 인내는 우리가 반드시 기억하고 보듬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 협약을 통해 실질적인 주민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함께 힘을 모아갈 것을 제안한다”며 “갈등 상황을 해소하고 상생협력 관계로 전환해 상호협력을 추진하자”고 덧붙였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