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 인수 작업이 지체되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외에 또 한 명이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당선인 승인 권한을 쥔 에밀리 머피 연방총무청(GSA) 청장이다.
CNN은 머피 연방총무총장이 당선자 승인 문제를 두고 엄청난 압박을 받고 있다며 “그녀는 트럼프와 바이든 사이에서 최악의 정치적 폭풍 속에 놓였다”고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대선에서 대통령 당선인을 확정하는 첫 공식 단계는 총무청의 승인이다. 총무청 승인이 나면 바이든 당선인은 인수위원회 가동을 위한 자금을 지원받고, 국가안보 등 민감한 분야에 대한 정보 접근권을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머피 청장은 선거가 끝난 지 2주가 더 지났지만 아직도 당선자 승인을 하지 않고 있다. 대선 관련 소송과 논란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게 표면적인 이유지만, 머피 청장이 임명권자인 트럼프 대통령의 눈치를 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CNN은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 “머피 청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말도 안되는 부정선거 음모론에 놀아나고 있다”고 분노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 극성 트럼프 지지자들은 당선인 승인을 서두를 경우 살해하겠다는 위협까지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머피 청장이 보통의 총무청장은 절대 예상하지 못했을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CNN은 이어 머피 청장이 바이든 당선인 승인과 관련해 객관적인 유권 해석에 따라 판단을 내리려 고심 중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면서 그가 조지 부시와 앨 고어 후보가 맞붙었던 2000년 대선 사례를 토대로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관측했다. 당시 대선에서는 고어 후보가 플로리다주 선거 결과에 불복해 재검표를 요청했고 결국 한 달 넘게 당선인 공백 사태가 벌어졌다.
머피 청장의 한 측근은 “에밀리는 완벽주의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전문적이고 꼼꼼하며 양심적인 사람”이라면서도 “불분명한 관련 법과 미증유의 사태라는 점이 그를 매우 어려운 상황에 몰아넣었다. 이건 정말 끔찍하고 두려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변호사 출신의 머피 청장은 2017년 트럼프 대통령에 지명돼 총무청장에 임명됐다. 직전에는 전임 청장의 선임보좌관으로 근무했다. 그는 정치적 감각이 있는 사람으로 알려졌지만 측근들 사이에서는 “트럼프 계파는 아니다”라는 평가가 나온다고 CNN은 전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