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진보는 이미 몰락했다”며 현 여권 세력을 향한 강도 높은 비판을 내놨다.
진 전 교수는 1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진보는 이익집단으로서 잘나가고 있다. 압승했고 누구 하나 그 사람들을 견제할 수 없을 정도”라며 “이런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이 표방하고 주장했던 가치집단으로서는 몰락해 버렸다”고 주장했다.
이어 “거기에는 더불어민주당만이 아니라 이른바 시민사회, 다시 말하면 시민단체들도 다 타락해버린 부분이 있다”며 “지식인들도 그쪽과 같이 유착을 해서 그들과 이익을 공유하는 사회로 변해버렸고, 그들이 잘못했을 때 휘슬을 불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사라져 버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전에는 제가 거대 세력과 맞서 싸울 때 든든했던 건 심정적으로, 예컨대 사상적·정신적 동지들이 있다고들 느꼈는데 이번에는 그 사람들이 없어진 것”이라며 “나랑 같은 곳을 바라본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이 갑자기 조국과 정경심을 옹호하는 걸 보면서 매우 큰 충격과 외로움을 느꼈다”고 말했다.
그는 ‘진보 몰락’의 가장 큰 원인을 묻는 말에 “원래부터 그랬지만 과거엔 거악이 있었기에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진 전 교수는 “조국 이후에 정의당 데스노트가 망가졌다”며 “되게 충격을 받았는데 생각해보면 그 사람들은 옛날부터 그랬다. 다만 그때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이나 거악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과 싸우는 가운데서 보이지 않았을 뿐이고, 권력을 잡으니 저들보다 더한 모습들이 눈에 보인다”고 비판했다.
또 자신의 저서에서 ‘팬덤 정치’ ‘586들의 착각’ 등 진보 몰락의 현상으로 꼽은 데 대해 “디지털 시대의 특성은 ‘탈진실’이며 참과 거짓의 구별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가짜도 진짜로 받아들이는 데 굉장히 익숙하다”며 “이걸 정치인들이 이용한다. 이 사람들이 허위를 얘기해서 지지자들로 하여금 진짜로 받아들이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옛날에는 정치가가 잘하면 지지하고 못 하면 비판했다. 그런데 팬덤은 자기들의 그 사람을 지지하는 게 아니라 사랑하는 것”이라며 “그러니까 비판을 하게 되면 자기에 대한 모욕으로 받아들여서 비판자들을 공격하게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옛날에 노사모는 ‘감시’를 외쳤지만 지금은 ‘대깨문’을 자처한다”며 “이것은 사실 정치라기보다는 일종의 종교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여권 주류인 ‘586’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자기의 정체성을 착각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진 전 교수는 “예를 들어 얼마 전에 유시민씨가 ‘자유론’을 들고나와서 놀랐다. 아직도 자기가 자유주의자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 같다”며 “팬덤을 거느리고 사람들 공격시키고 그분의 말 한마디에 KBS 법조팀이 날아갔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분이 아직 보지 못하는 부분이 제 눈에는 보이기 때문에 지적하는 거다. 민주당의 정체성이 변질됐다. 김대중 노무현의 민주당이 아니다”라며 “지금 주류는 옛날 운동권 출신이다. 이 사람들은 한번도 자유주의 경험을 안 해본 사람들이다. 우리 때는 자유주의를 ‘부르주아’라고 불렀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사람들의 정치를 보면 항상 ‘적’과 ‘아’를 나눈다. 구체적으로 부동산 3법 같은 걸 보라. 그냥 막 몰아붙이고 이견을 내면 수구세력이라고 한다”며 “대화, 토론, 타협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온갖 문제들이 터져 나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진 전 교수는 ‘진보냐 우파냐’는 질문에 “진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배신’을 언급한 일부 비난 세력에 대해 “저 사람들이 진보가 아니다. 표창장 위조해서 딸 부정입학시키는 게 진보냐. 그건 진보가 할 일이 아니다”라며 “저는 그냥 이 자리에 있는 거고 그들에게 진보라는 이름을 빼앗겨버렸으며, 그들에 의해서 진보의 이름이 더럽혀진 거다. 진보를 어떻게 다시 재구성할 것인가가 요즘 시작한 고민”이라고 말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