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해 외부 지원을 받지 않겠다고 재차 선언했다. 코로나19 방역을 고리로 남북 교류협력 재개를 선언한 이인영 통일부 장관의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9일 ‘비상방역사업은 당과 국가의 제일 중대사’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없어도 살 수 있는 물자 때문에 국경 밖을 넘보다가 자식들을 죽이겠는가 아니면 버텨 견디면서 자식들을 살리겠는가 하는 운명적인 선택 앞에 서 있다”며 “많은 나라에서 악성 전염병의 2차 파동으로 방역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조국 수호 정신으로 살며 투쟁하지 못한다면 조국과 인민의 운명이 무서운 병마에 농락당하게 된다”며 “방역 전선이 흔들리면 사회주의 건설의 모든 전선이 위태롭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사업에서는 설사 잘못하는 것이 있을 수 있고 또 시정할 수도 있지만, 오늘의 비상방역전에서는 사소한 실책과 오유(오류)도 절대로 허용될 수 없다”고도 했다.
신문은 코로나19 방역을 “악성 전염병과의 총 포성 없는 전쟁”이라고 묘사하며 “모든 일군(간부)과 당원과 근로자들이 서로 방조하고(돕고) 통제하는 방역 분위기를 계속 고조시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문의 이런 주장은 북한이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재확산되고 있는 만큼 남한이나 국제기구 등의 외부지원을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지난 8월 수해 당시에도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외부지원을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큰물(홍수) 피해와 관련한 그 어떤 외부적 지원도 허용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반면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전날 KBS와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방역을 계기로 남북 관계의 물꼬를 트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 장관은 “만약 우리가 치료제와 백신을 서로 협력할 수 있다면 북으로서는 방역 체계로 인해 경제적 희생을 감수했던 부분들에서 조금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부족할 때 함께 나누는 것이 더 진짜로 나누는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