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상가 리모델링 전세 공급…서울 5400·수도권 9700가구

입력 2020-11-19 08:16 수정 2020-11-19 10:06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국무위원 식당에서 열린 제10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속보] “공공임대 거주기간 30년까지…중위소득 150%로 확대”
[속보] “질 좋은 중형주택 공공임대 향후 5년간 6.3만호 공급”
[속보] 공공지원 민간임대·오피스텔, 월세→전세 전환 유도
[속보] LH 미착공 물량 1만2000가구 공급 앞당긴다
[속보] 공공전세 2022년까지 11.4가구…내년 상반기 7.1가구 ‘집중공급’

정부가 내년 하반기부터 상가, 오피스, 숙박시설 등 비주택을 리모델링해 임대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비주택 리모델링을 통해 2022년까지 전국에서 임대주택 1만3000가구를 공급하겠다고 19일 밝혔다. 수도권에 9700가구, 서울에 5400가구가 공급된다.

앞서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도심 공실이 급증함에 따라 5·6 대책, 8·4 대책에서 정부 주도의 공실 상가·오피스 리모델링 사업을 도입한 바 있다. 공급목표는 2022년까지 총 5000가구(내년 1000가구, 2022년 4000가구)였다.

국토부는 기존 정책에 더해 공공주도형은 물량 확대, 민간참여형은 규제 개선을 추가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전국 1만3000가구, 수도권 9700가구, 서울 54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대책(2022년까지 공공주도형 5000가구, 민간참여형 500가구) 대비 7500가구 증가한 수치다.

이를 위해 상가·오피스·숙박시설 외에 현재 건설 중인 건물을 용도전환하거나 설계변경해 주거용으로 전환하는 것도 추진한다.

이외에 사업촉진을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컨설팅을 진행하고 민간의 설계·시공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