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 “북핵, 외교로 풀 수 있다”…12월 바이든 만나 해법 건의

입력 2020-11-18 16:16
이인영 통일부 장관과 윌리엄 페리 전 미 국방부 장관,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이 18일 오전 화상 간담회를 갖고 있다. 통일부 제공

이인영 통일부 장관과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부 장관이 북핵 해법에 대해 논의했다. 페리 전 장관은 북한의 핵능력이 “진전됐다”고 평가하면서도 외교적 해법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페리 전 장관은 다음 달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과의 면담에서 북핵 해결 방안을 건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 장관과 페리 전 장관,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은 18일 화상 간담회를 가졌다. 통일부는 이날 간담회는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공헌해온 한·미 원로로부터 과거의 경험과 지혜를 경청하고 향후 대북정책에 대한 교훈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밝혔다.


페리 전 장관은 “북한의 핵능력 진전 등 당시와 상황은 변했지만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해법은 여전히 유요하다”며 “한·미 공동으로 한층 진화된 비핵화·평화 프로세스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부의장은 “페리 프로세스가 국민의정부 당시 한반도 긴장 완화에 크게 기여했다”며 “페리 프로세스 2.0 등 보다 발전된 한반도 평화 및 비핵화 로드맵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김대중·클린턴정부 간 조율과 협력해 기초했던 페리 프로세스를 교훈삼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해 지혜를 모으고 미국 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페리 프로세스는 북한이 핵 개발을 포기하면 국제사회가 북한 체제를 보장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1999년 5월 대북정책조정관 신분으로 방북한 페리 전 장관이 조명록 당시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에게 제시했다. 이를 계기로 북·미 간 화해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다음해 10월 올브라이트 미 당시 국무장관은 3박4일간의 일정으로 방북해 김 위원장과 두 차례 회담을 가졌다.

당시 두 사람은 빌 클린턴 당시 미 대통령의 방북, 외교대표부 개설, 미사일 문제, 한반도 긴장 완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그러나 그해 11월 열린 미 대선에서 공화당의 조지 W 부시 후보가 승리하면서 북·미 정상회담은 없던 일이 됐다.

페리 전 장관은 12월로 예정된 바이든 당선인과의 만남에서 북핵 해법을 건의하겠다고 이날 간담회에서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 부의장은 ‘미국의 대북정책 방향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을 주제로 열린 포럼 기조연설에서 “페리 전 장관이 다음달 바이든 당선자를 만날 예정인데 그때 오늘 있었던 (간담회) 이야기를 하겠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정 부의장은 그러면서 “미국 정부가 대북정책조정관을 특별히 임명하고 한국에서도 대북정책조정관을 임명해 조정관들끼리 북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판을 짜겠다는 약속을 했다”며 “바이든 당선인이 받아들일지는 모르겠지만 판이 이렇게만 짜이면 페리 프로세스를 현 시점에 맞춰 업그레이드 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