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라면 사랑이 예전만 못하다는 사실이 통계로 확인됐다. 2005년만 해도 라면은 소득 상위 20%를 제외하면 다섯 손가락 안에 꼽는 선호 가공식품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으로는 상위권에서 라면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대체재가 생긴 게 원인으로 꼽힌다. 즉석·동결 식품이 라면 선호도를 깎아내렸다. 건강을 위해 라면 소비를 줄이는 현상도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2005년 5위권 ‘라면 사랑’ 2019년엔 7~8위
박기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원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라면 선호도가 14년 만에 현격히 낮아졌다고 18일 밝혔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2005년과 지난해를 기준점으로 삼아 가공식품 지출 품목 순위를 소득 구간 별로 분류해 분석했다.2005년의 경우 1분위(소득 하위 20%)의 라면 지출 비중은 전체 가공식품 중 ‘우유’ ‘과자’ ‘말린 고추’ ‘빵’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았다. 2분위(20~40%)와 4분위(60~80%) 역시 5위였다. 소득 수준으로 딱 중간에 위치한 3분위(40~60%)의 라면 선호도가 가장 두드러졌다. ‘우유’ ‘과자’ ‘빵’에 이어 라면이 지출 비중 4위를 차지했다.
이랬던 결과치가 지난해에는 확 달라졌다. 가공식품 지출 비중 상위 5개 품목 중 라면을 찾아 볼 수 없다. 1·2분위의 경우 라면 지출 비중은 7위로 떨어졌다. 3·4분위는 8위를 기록했다. 원래부터 라면을 잘 먹지 않았던 5분위(상위 20%)조차 비슷한 흐름이 읽힌다. 2005년에는 지출 비중 9위였던 라면이 지난해에는 11위까지 뒷걸음질쳤다.
즉석·동결 식품, 저염식 선호 현상이 원인
라면을 대체할 수 있는 식품이 출시되다보니 벌어진 일이다. 편의점과 대형마트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즉석·동결 식품이 라면을 밀어냈다. 즉석·동결 식품은 라면처럼 손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고 종류도 다양하다. 지출 비중 순위에서도 이 현상이 증명된다. 지난해의 경우 1분위를 제외한 모든 소득 분위에서 즉석·동결 식품의 지출 비중이 3~4위를 오갔다. 2005년만 해도 순위권에서 아예 살펴 볼 수 없었던 품목이 급속도로 치고 올라왔다.다이어트나 건강을 위해 라면 소비를 줄인 영향도 감지된다. 라면의 대부분은 튀긴 밀가루 음식이라는 점에서 다이어트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이다. 봉지 당 1800㎎ 내외인 나트륨 함량 역시 라면 소비를 줄인 요인으로 꼽힌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편리한 대체 식품이 늘어난 데다 저염식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라면 지출 비중이 줄어 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