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난한 트럼프 불복 소송… 제동 거는 법원-발 뺀 로펌

입력 2020-11-18 05:28 수정 2020-11-18 09:4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불복 소송이 잇따라 기각되거나 철회돼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는 시도가 난항을 겪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캠프는 펜실베이니아주에서 낸 소송과 관련해 “광범위한 유권자 사기가 있었다”는 핵심 주장을 지난 15일 포기했다. 캠프 측은 대신 “일부 투표용지가 참관인 없이 집계됐다”면서 개표 과정의 결함을 주장하는 쪽으로 쟁점을 좁혔다.

유권자 사기가 만연했다면서 트럼프 지지자와 보수단체가 주요 승부처인 펜실베이니아와 미시간, 조지아, 위스콘신주에서 제기한 소송 4건은 전날 취하했다.

블룸버그는 “이는 지난주 몇 건의 패소에 이어 나온 것으로 선거가 조작됐다는 트럼프 대통령 주장을 변호사들이 뒷받침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소송을 대리하는 로펌과 변호사는 줄줄이 발을 빼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소송을 맡았던 로펌 ‘포터 라이트 모리스 앤드 아서’는 지난 13일 수임을 철회했다.

이 사건은 개인 변호사 린다 컨스가 맡을 예정이었지만 그도 전날 이유를 밝히지 않고 빠졌다. 결국 보수 성향 변호사인 마크 스커린지가 혼자 맡기로 했다. 지난주에는 다른 지역 소송을 맡은 애리조나주 로펌 ‘스넬 앤 윌머’가 손을 뗐다.

진행 중인 소송도 순탄치 않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개표 과정에서 수상한 행동을 목격했다면서 집계 결과 인증을 막아 달라고 낸 소송은 1심에서 기각됐고, 전날 연방항소법원도 같은 결론을 내렸다.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트럼프 캠프나 지지자들이 우편투표 기한 연장, 개표 규칙 준수 등에 초점을 맞춘 20여건의 소송을 냈지만 몇몇 작은 사건만 이겼다고 보도했다.

더힐은 “트럼프 캠프의 소송은 2000년 대선처럼 현재 보수 우위인 대법원이 선거 결과를 정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지만 계속된 패배로 그 가능성은 작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소송은 2004년, 2008년, 2012년, 2016년 대선 이후 발생한 소송들과 더 유사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최종 결과와 아무 관련 없는, 거의 기억되지 않는 법적 분쟁”이라고 덧붙였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