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아끼는 靑 “국무총리 주재 장관회의 결과가 정부 입장”

입력 2020-11-17 17:18

청와대는 17일 김해신공항 백지화 결정에 대해 공식입장을 내지 않은 채 “동남권 신공항을 차질없이 준비하겠다”는 국무총리 주재 장관 회의 결과가 정부 입장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과도 관계가 있는 사안인 만큼 청와대가 직접 입장을 밝혀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김해신공항 전면 재검토 의견이 나왔고 정부가 후속 조치를 준비하고 있는데 청와대가 앞장서서 어느 곳을 말할 순 없다”며 “정부 입장을 따르면 된다. 청와대가 가이드라인을 내릴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 관계자도 김해신공항 백지화 결정에 대한 기자들의 질의에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 검증결과에 대한 정부 입장이 국무총리 주재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통해 논의된다”며 “정부의 공식 입장이니까 장관회의 결과를 기다려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는 여당이 김해신공항 백지화 이후 부산 가덕도 신공항에 불을 붙이는 것과 비교하면 다소 거리를 둔 반응이다. 김해신공항 원점 재검토를 두고 대구·경북에서 반발하는 등 정치적 논란이 커지자 거리 두기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과거 가덕도 신공항 부지를 찾는 등 여러 차례 동남권 신공항을 주장해온 만큼 사실상 가덕도 신공항에 힘을 싣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이던 2016년 6월 부산 대항동의 신공항 가덕 후보지를 찾아 “객관적, 국제적 기준을 따르면 (신공항 입지는) 부산 시민의 바람과 같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당시 최적 입지로 가덕도냐 경남 밀양이냐를 묻는 말에 “개인적 견해를 밝히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즉답을 피했지만 사실상 가덕도에 신공항이 들어서야 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해석됐다.

앞서 같은 해 총선 당시에도 “정치 논리를 배제하고 경제적으로만 판단한다면 부산시민이 바라는 신공항을 만들 수 있다. 국회의원 5명만 뽑아준다면 대통령 임기 중 신공항 착공을 반드시 이뤄내겠다”고 했다. 부산에서는 압도적으로 가덕도 신공항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다. 문 대통령은 2017년 대선 당시에도 ‘동남권 신공항 건설 공약’을 내세웠는데, 정치권에서는 이를 가덕도 신공항으로 해석해 왔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