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광산구 평동 준공업 지역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을 신축하는 개발사업을 추진해 논란이다. 민간 건설자본을 끌어들여 근로자들의 직장과 주거 공간을 한데 묶는 일명 ‘직장·주거 공간(직주공간)’을 만든다는 데 대해 찬반여론이 분분하다.
광주시는 “평동 준공업지역 139만5553㎡의 도시개발사업 민간사업자 공모에 들어갔다”고 17일 밝혔다. 도시개발법에 따른 민관합동 도시개발사업에 착수하기 위한 첫 행정절차다.
시는 사업 대상지에서 아파트 단지 등을 신축할 민간사업 의향서를 오는 20일까지 접수하고 내년 1월 29일까지 구체적 사업계획서를 제출받아 최종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사업 대상지는 불과 1㎞ 거리에 광주 관문인 KTX 광주송정역이 위치하고 광주공항과 인접한 데다 빛그린 국가산단, 서해안고속도로와도 가까운 교통요지다. 갑갑한 도심에서 확 트인 황룡강변의 수려한 경관을 누리는 조망권도 뛰어나 아파트 입지로는 최적지라는 평가다.
시는 이곳을 친환경 자동차, 에너지, 문화콘텐츠 등 전략산업 거점인 평동산단의 ‘베드타운’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이러면 평동산단 근로자들은 직장과 주거지가 가까운 ‘직주공간’에서 쾌적한 일상생활을 꾸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시 산하 최대 공기업인 도시공사와 출자·출연기관인 김대중컨벤션센터가 총 자본금 50억 원의 50.1%를 출자하고 나머지 자금 49.9%를 민간자본으로 조달하는 ‘프로젝트 법인’을 설립할 예정이다.
애초 논과 밭이던 사업 대상지는 지난 1991년 평동 산단 조성 과정에서 땅값이 싼 생산 녹지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져 당시 소외된 원주민들의 반발이 컸다.
지난 1998년 민원 해소 차원에서 준공업 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했지만 이후 폐기물 공장 등 혐오시설만 잇따라 들어서 20년 넘게 집단이주를 요구하는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시는 전략산업 육성과 함께 평동산단 근로자에게 쾌적한 주거공간을 공급하고 원주민들의 민원까지 해소하는 ‘일석삼조’의 성과를 위해 민간합동 도시개발 사업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규모 아파트 건설만 부추기는 등 이 일대의 난개발을 불러오게 될 것이라는 반대여론도 만만치 않다. 인근 장록습지의 국가 습지 지정을 가로막고 황룡강의 자연환경을 훼손하게 될 것이라는 부정적 의견도 제기된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체계적, 효율적 방식의 민간합동 개발을 통해 미래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는 것“이라며 “아파트 위주의 회색 도시가 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